이렇게 생각한다 ─ <맞불> 논설:
‘물밑접촉’, 되풀이하지 말아야
〈노동자 연대〉 구독
아이러니이게도 광우병국민대책회의는 촛불시위가 정점에 오른 직후 난점을 드러내곤 했다. 6월 10일 1백만 시위 직후에 그랬고, 공안탄압을 뚫고 50만 명 규모의 촛불이 모인 7월 5일 직후인 지금도 그렇다.
6월 10일 직후에는,
7월 5일을 전후해서는, 촛불 운동의 기조 변화가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촛불집회 횟수를 주 1회로 줄이고 대신 불매운동이나 국민투표 요구로 전환하자는 것이다. 온건 시민단체들은 애초 7월 5일 집회가 이런 기조 변화의 선포장이 되기를 바랐던 듯하다.
그러나 촛불 운동이 무슨 스포츠 스타도 아닌데 왜 절정에 달했을 때
국민대책회의는 상당한 내부 이견에 부딪혀, 7월 5일 집회를 앞두고 이런 기조 전환을 결정하지는 못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7월 5일 촛불대행진을 향후 촛불 확대의 발판으로 삼기보다 그동안의 성과를 일단락짓는 장으로 모색하는 기류가 일각에 암묵적으로 존재했다.
청와대의 책임있는 사람을 통한 국민요구사항 전달이 성사됐다면 그나마 그동안의 성과를 일단락짓는 계기로 평가됐을 수 있다. 이런 구상 속에서 몇몇 주요 시민사회단체 책임자들이 청와대의 책임 있는 사람을 통해 국민요구사항을 전달하는 그림을 만들기 위해
그런데 청와대와의
공개적
그럼에도 국민의 요구를 전하는 대책회의의 선의를 이처럼 야비하고 간교한 청와대가 악용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했어야 했다. 그래서 촛불 지지자에게는, 대책회의에서 합의된 공식 절차에 따라 공개적 방식으로 요구 사항 전달이 이뤄졌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매우 크다. 국민대책회의 운영위원들은 대부분 언론을 통해서야 비로소 청와대와의
특히, 이명박 정부가 공안탄압을 휘몰아치고 촛불 운동의 방향을 둘러싸고 민감한 내부 논의가 한창인 상황에서, 촛불 운동에 파장을 미칠 수 있는 청와대와의 협의가 물밑으로 진행된 것은 부적절했다.
국민대책회의 소속 주요 시민
국민대책회의는
그러면 우리의 대표는 수십만 대중의 든든한 지지를 등에 업고 대화에 임할 것이고, 개인적 친분이나 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진실 공방의 여지 자체가 없을 것이다. 공개적 방식이 필요한 까닭이다.
광우병국민대책회의는 이번 경험을 교훈 삼아, 청와대에 우리의 요구를 전달할 필요가 있을 때 대책회의 내에서 합의된 공식 절차에 따라 공개적으로 집행해야 한다. 또, 청와대가 요구 전달조차 촛불집회 중단을 조건으로 제시했으므로 대통령 면담 요구가 더는 의미 없어졌음을 공개 표명해야 한다.
지금 촛불 운동은 성과를 거두며
혹심한 탄압 속에서도 여러 사람들이 원하는 한 촛불을 이어가도록 노력하면서 다시 촛불이 확대될 수 있도록 애써야 한다. 심각한 경제 위기와 기만적 개각 같은 이명박의 실수 덕분에 이런 일은 그리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