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북 압박·무시가 낳은 위험한 북한 핵실험:
대북 제재와 강경 대응은 재앙을 키울 뿐이다
〈노동자 연대〉 구독
북한의 2차 핵실험과 그 여파는 한반도의 심각한 불안정 상황을 보여 주고 있다. 끔찍한 전쟁 경험을 직간접으로 겪은 남한 민중이 북한 핵실험에 대해 우려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북한의 핵개발
그러나 북한의 이번 핵실험은 바로 미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의 대북 강경 정책이 불러온 결과다.
이미 미국의 대북 압박은 1994년에도 한반도 전쟁 위기를 부른 바 있다. 제네바 합의 이후 잠시 위기가 지연됐지만, 부시 정부가 2002년 연두교서에서 북한을 이라크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미국 네오콘들은
그러다 2003년 여름 무렵부터 이라크에서 수렁에 빠지기 시작하면서, 미국은 마지못해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들이게 된다. 그러나 미국이 1994년 제네바 합의 때보다 더 까다로운 조건을 내밀어 협상을 지연시키거나 핵
이 상황에서 북한은 2005년 2월 핵무장 선언을 한다. 이라크 수렁에 빠져 있는 미국이 북한을 군사적으로 공격할 여유가 없다는 점을 이용해, 확실한 안전 보장을 받아내려는 계산이었다. 미국이 이런 북한을 달래려고 하면서 2005년 9
오바마 정부 또한 북한의 키리졸브 훈련 중단 요구를 무시하고 한반도 주변에서 엄청난 대량살상무기를 동원한 군사 훈련을 강행했다.
지난번 북한의 로켓 발사는 이런 오바마 정부의 대북 압박
따라서 강대국들의 북한 비난과 제재 시도는 위선이고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뿐이다.
그럼에도 이명박 정부는 최근 PSI 전면 참가를 선언했다. 그러자 북한은 곧장
이에 이명박 정부는 지난 1월부터 구축함
한편 〈레프트21〉이 예측했듯이 지난 번 로켓 발사 직후 이명박 정부는 범민련 등 진보진영 활동가들을 탄압했다. 그때와 마찬가지로 북한 핵실험을 계기로 이명박 정부는 정부를 비판
핵무기 애호가들의 위선적 북핵 비난
미국은 북핵을 비난하지만, 미국이야말로 1만 기 넘는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고 실전에서 유일하게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오바마가 강화하려는 NPT
미국만 위선적인 게 아니다. 일본 우파들은 북한
무엇보다 이번에는 남한에서도 한나라당
이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