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제:
조삼모사 식 기만 정책
〈노동자 연대〉 구독
최근 21세기 판 사사오입 사건인 언론법 날치기 처리와 쌍용차 노동자들에 대한 살인 진압 때문에 지지율이 떨어지고 역풍이 일 기미가 보이자 이명박 정부는 긴급 브리핑을 통해 등록금 문제 개선안이라는 것을 발표했다. 7월 30일
1천만 원에 육박하는 살인적 등록금 때문에 많은 학생들과 노동자
1백만 청년실업 시대에 이 상태로 갔다가는 몇 년 내 수만, 수십만 명이 학자금 신용불량자가 될 것이 눈에 뻔히 보이는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등록금을 인하하라는 요구를 해 왔다. 실제로 각 대학들이 적립금을 쌓기 위해 등록금을 인상하는 것만 규제해도 등록금의 15퍼센트는 삭감할 수 있다. 대학 등록금 총액이 10조 원인데 대운하 삽질예산 22조 원의 절반만 써도 무상 등록금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에 정부가 이번에 내놓은 대책은 등록금 전체 액수를 규제하는 내용은 없이 해마다 이자가 붙어 눈덩이처럼 불어날 등록금을 졸업 후 일정한 소득이 생기면 갚도록 하는 안이다. 물론 대학을 다니면서부터 이자 납부를 위해 아르바이트를 해야 하고 졸업 후 바로 원리금을 상환해야 해 학생들을 신용불량자로 만드는 현행 학자금 대출제보다는 낫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심각한 문제는 이 안을 발표하면서 기초생활 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에게 지원해 오던 장학금을 폐지해 버린 것이다. 소득분위 7분위에게까지 차등을 둬 지급해 왔던 학자금 대출 금리 지원도 중단해 버렸다.
결과적으로 졸업 이후로 고통이 연기됐을 뿐 가난한 학생들이 부담해야 하는 등록금 총액은 더 늘어났다.
단기간에 대량 신용불량자를 양산하는 문제는 없어진다 하더라도 많은 학생들의 입에서
생색내기용이 아니라 정부가 실질적으로 재정 지원을 확대해서 등록금을 인하하는 대책이 나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