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참사 항의 운동:
이명박 정부와 맞서 싸우고 전진할 수 있음을 보여 주다
〈노동자 연대〉 구독

용산참사는 이명박의
촛불집회 참가자들을
이명박 정부는 용산참사의 책임을 철거민들에게 떠넘기고, 항의 운동을 시종일관 탄압했다. 검찰은 수사기록 3천 쪽을 감추며 진실을 은폐
하지만 항의 운동도 끈질기게 이어졌다. 용산참사가 벌어지자마자, 1백여 개 단체가
그 후 항의 운동의 동력이 줄자, 곧바로 이명박은 반격에 나섰다. 용산참사 항의 운동에는 모조리
끈질기게
이러한 탄압에도 유가족과 용산범대위, 각계각층의 저항이 계속됐다. 문정현 신부에서 시작된 용산참사 현장의 생명평화미사가 천주교 서울대교구 빈민사목위원회와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으로 확대돼 2백80일 넘도록 이어졌다. 기독교 대책위와 불교, 원불교 성직자들도 합류했다. 각계각층이 시국선언을 발표하며 정부가 나서서 용산참사를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문화예술인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힘을 보탰다. 시민들의 성금과 물품 기증도 줄을 이었다. 야당 의원들도 나서서 용산참사 해결을 촉구했다.

국제앰네스티 아이린 칸 사무총장도 용산참사 해결을 촉구했고, UN 사회권위원회도 한국의 사회권 상황에 대한
1년 가까이 모르쇠로 일관하던 정부는 끈질긴 저항과 광범한 연대에 떠밀려 결국 해를 넘길 수 없는 상황에 이르자, 한발 물러서 총리 사과와 유가족 생계 보장 등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제 정부는 약속한 대로 재개발 정책을 개선해야 하고, 죄 없는 철거민들을 즉각 석방해야 한다.
이 밖에도 아직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 등의 과제가 남아 있지만 용산참사 항의 운동이 거둔 성과는 이명박 시대에도 싸우고 전진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