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의 기만적이고 알맹이 없는 ‘한국형 복지’
〈노동자 연대〉 구독
12월 20일 박근혜는
박근혜조차 복지 확대를 내세우는 것은 대중이 복지 확대를 얼마나 크고 절실하게 바라는지 보여 주는 것이다.
그러나 안상수의

박근혜는
서구 복지국가 같은 높은 수준의 복지를 제공할 생각이 없고 돈을 나눠 줄 생각도 없다는 것이다. 언제 그래 본 적이 있기라도 한 것처럼 말이다.
이명박 정부의
그러나 복지를 확대하는 것은 후대에 부담이 아니라 도움이 된다. 부모와 자식 부양의 책임을 개인이 아니라 사회가 지는 것이 진정한 복지이기 때문이다. 사회투자론은 수익이 남을 때만 복지에
구체적 내용도 없고 무엇보다 재원 마련 계획도 없이 내놓은 박근혜의
그러나 전두환의 의도와는 달리 1987년에 벌어진 노동자 대투쟁은 이 약속이 실제로 이행되도록 강제하는 구실을 했다.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제도 등 한국의 복지제도들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것이 바로 이때부터였다.
따라서 지금 필요한 것은 바로 1987년만큼 강력한 노동자 투쟁을 건설하는 것이다. 그러려면 진보진영은 선거를 통해서만 개혁이 가능하다는 자기제한적 전망을 극복하고 노동자들의 광범한 단결과 투쟁을 위해 필요한 일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