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르시를 끌어내린 이집트 민중
—
이제 군부의 반혁명 시도에 맞서자
〈노동자 연대〉 구독
이집트 혁명적사회주의자단체(RS)의 사메 나기브가 카이로에서 혁명의 소식을 전한다. 카이로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7월 3일 저녁 대통령 무르시가 퇴진한 것을 축하하고 있다.
우리는 겨우 30개월 만에 대통령을 두 번이나 날려 버렸다. 1천만 명이 넘는 대중이 참여한 2차 혁명이다. 혁명에 참가한 대중의 규모는 전례없을 정도로 크다.
기층 민중은 자신들의 손에 역사를 바꿀 힘이 있음을 확신하고 있다.
현재 상황은 모순적이다. 형식적으로 보면 이 혁명은 군부 쿠데타다. 군부는 대통령과 무슬림형제단 지도부 77명을 체포했다.
군부는 새로운 혁명의 파도 속에 살아남으려 운동에 개입했다.
그러나 동시에 이 혁명은 대중적 민중 항쟁이다. 민중의 힘에 밀려 군부는 뭔가 행동을 해야 했고, 살아남으려면 무르시를 제거할 수밖에 없었다.
군부는 무바라크에 이어 이번에 두 번째로 무르시를 제거했다. 군부에게 남은 선택지는 바닥나고 있다. 무르시는 실패했고, 그 대안으로 보이는 엘바라데이는 취약하다.

이번 혁명은 민주주의의 종말도, 단순한 군부 쿠데타도 아니다.
혁명은 사실 민주주의를 극대화하는 과정이다. 이에 견주면, 몇 년에 한 번 투표하는 것은 새발의 피도 안 된다.
군부는 이 과정을 중단시키려 애쓴다.
7월 4일 목요일 대규모 파업이 예정돼 있었다. 버스, 철도, 시멘트, 수에즈 운하 노동자들이 파업에 나서려 했었다. 거리의 항의 시위는 총파업으로 발전할 수도 있었다. 거리 시위에 참가한 사람들의 압도 다수는 노동계급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 상황이 끝난 것은 아니다.
현재 사람들은 큰 희열을 느끼며 병사들을 응원한다. 그러나 그들이 어리석어 그러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과거에 경찰과 군대가 한 짓을 똑똑히 기억한다.
변화를 바라는 기대가 하늘을 찌른다. 이 기대감은 무바라크를 끌어내렸을 때보다 훨씬 더 높다. 그러나 새로운 정부가 진정한 개혁을 이룰 가능성은 매우 적다.
지난 며칠 동안 일어난 사태 전개 속에서 민중은 커다란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이집트 민중은 민중의 요구에 부응하지 않는 대통령을 1년 만에 끌어내렸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