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일 대화는 일본의 중국 견제용 지렛대
〈노동자 연대〉 구독
5월 28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북
북
그러나 아베의 의도는 더 근본적인 이해관계와 연결돼 있다. 아베는 이번 합의를 통해 중국에 견제구를 던지려는 듯하다.
일본은 미국의 지지 속에 동아시아에서 중국과 치열한 제국주의 경쟁을 벌이고 있다. 두 국가 간 지정학적 경쟁 강도는 점차 높아져, 동중국해 일대에서 중국과 일본이 국지적으로 충돌할 가능성은 현실적인 위험이 됐다.
이 과정에서 중국과 일본의 외교전도 치열해졌다. 예컨대 일본은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겪고 있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적극 접근하고 있다. 중국도 이에 맞서 해당 국가들에 강경하게 맞대응하곤 한다.
외교전
한반도도 예외는 아니다. 그런데 한반도에서 아베 내각은 입지가 다소 좁아진 상태였다. 일본은 과거사 문제 등으로 한국 정부와 관계가 소원해졌다. 지난 3월 한
북한이 경제적으로 중국에 크게 의존하면서, 최근 수년 동안 중국의 대북 영향력도 커져 왔다. 중국이 북한 나진항에 진출한 것이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 중국은 나진항을 통해 동해를 거쳐 태평양으로 나아갈 출구를 확보하는 데 꾸준히 관심을 보여 왔다.
이런 상황에서 아베는 한반도에서 중국을 견제할 수단 중의 하나로 북
북·일 합의가 한반도 긴장을 완화해 줄까?
일본의 대외 정책이 미국 제국주의에 일방적으로
게다가 우크라이나 사태에서 드러났듯이 미국의 패권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하락해 왔기 때문에, 그만큼 일본이 대외 정책에서 미국과 다른 행보를 할 여지도 커졌다.
그럼에도 이번 합의는 2002년과 2008년의 북
우선, 일본의 대북 정책이 일관되게 전개되지 않을 공산이 크다. 동아시아에서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전이 전개되는 양상에 따라, 일본의 대북 정책은 얼마든지 급변할 수 있다. 일례로 2002년 당시 일본 총리 고이즈미가 북한을 방문하면서 북
미일 동맹
또한 지금 아베 내각은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위해 전력 질주하고 있다. 이 밖에도 군사 대국화를 향한 외교
무엇보다 일본 지배자들은 중국과의 경쟁에서 미일 동맹 강화가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미국이 세계 최강의 지위를 유지하는 한, 일본은 미일 동맹의 날개를 근본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일본 지배자들은 북
실제로 미국 국무부 대변인 젠 사키는 일본이
일각에서는 북
그러나 이 기대가 실현될 가능성은 낮다.
아베와 김정은 모두 평화와 인권에는 눈곱만큼의 관심도 없는 자들이다. 북한 지배자들은 미국의 대북 제재로 인한 오랜 고립에서 벗어나기를 원할 뿐이다. 북한이 군사 대국화를 향해 폭주하는 아베와 대화에 나선 것은 북한의
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