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을 삭감해 공적 연금을 강화하자는 양보론 문제
〈노동자 연대〉 구독
새정치연합과 실무기구에 참여한 공무원 단체들은
물론 소득대체율 인상과 사각지대 축소 같은 공적 연금 강화 방안은 꼭 필요한 조처들이다. 이는 정부의 책임과 기업주들의 부담을 OECD 국가들의 평균 수준으로만 늘려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러나 공무원연금 삭감안을 수용하고 그 돈으로 공적 연금을 강화하자는 의견에는 문제가 많다.
첫째, 비현실적이다. 정부
새누리당 원내대표 유승민은 공적 연금 강화 제안을 단칼에 잘랐다.
오히려 정부
물론 새누리당은
꼼수
이런 맥락에서
심지어 새누리당 조원진은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둘째, 새정치연합도 공적 연금 강화에 전혀 진지하지 않다. 새정치연합은 노무현 정부 시절 국민연금을 3분의 1이나 삭감한 주범이고, 박근혜의 기초연금 먹튀에 합의해 준 공범이다.
새정치연합은
지금 국회 특위 야당 간사를 맡고 있는 강기정은 2008년 유시민 등과 함께 공무원연금 개악안을 입법 발의한 당사자다. 공무원 노동자들의 저항 때문에 좌절됐지만 개악의 수준과 명분은 지금 새누리당 안과 대동소이했다.
이런 새정치연합이 공적 연금 강화를 위해 새누리당과 정말로 싸우리라 기대하는 것은 나무 위에서 물고기를 잡겠다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정부와 기업인들은 양보할 생각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공무원 노동자들의 희생을 바탕으로 다른 노동자들의 조건을 개선하려는 시도는 그저 노동자들 사이에 분열만 낳을 것이다. 그래서 이는 공적 연금 강화를 위한 진정한 동력, 즉 아래로부터의 노동자 투쟁을 약화시킬 것이다.
그리 되면 전체 공적 연금의 하향평준화로 이어질 위험이 다분하다. 앞서 지적한 대로, 정부의 재정 부담이 지금보다 대폭 늘어나지 않는 한 공무원연금 개악만으로는 공적 연금을 강화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따라서 공무원연금 개악과 공적 연금 강화는 맞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공적 연금 강화는 공무원연금 개악을 막아 내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