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생각한다
민주노총 임원선거:
투쟁을 강조하는 기호 2번 이호동 후보조에게 지지를
〈노동자 연대〉 구독
민주노총 9기 임원선거는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지 200일이 조금 지난 시점에서 치러진다. 그런 만큼 문재인 시대 민주노총의 정책 방향과 과제가 선거의 핵심 쟁점이었다.
3번 윤해모 후보조는 문재인 정부가 친노동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주장하며 지지하고, 선거 운동 내내 노사정위 복귀를 단연 중요한 정책으로 강조했다. 심지어 민주노총이 정치방침으로 민주당 지지도 열어 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네 후보조 가운데 가장 오른쪽이다.
네 후보조 가운데 1번 김명환 후보조와 4번 조상수 후보조가 중간에 위치해 있다. 이들은 정권이 바뀐 만큼 이제 민주노총도 변해야 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1번 김명환 후보조와 4번 조상수 후보조는 선거운동 내내 서로 차이를 부각하고 싶어 했지만, 선거 핵심 쟁점인 문재인 정부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대화 문제에서는 엇비슷한 입장이다.
1번 김명환 후보조는 문재인 정부와의 관계에서
4번 조상수 후보조는
교섭과 투쟁과 협력?
그러나 문재인 정부가 그 자신이 설정한 적폐의 청산에도 미온적임이 점점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노동계급의 처지에서 정의된 적폐를 청산하고 노동계급에 이익이 되는 사회개혁을 이루려면 문재인 정부와 투쟁을 해야 한다는 점이 압도적으로 강조돼야 할 것이다.
조상수 후보는 자신이 문재인 정부로 하여금 성과연봉제를 폐기하고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을 노동개혁 과제로 삼도록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말이 참말일지라도,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정책들
조상수 후보는 정부와의 신뢰가 구축돼야 노사정 대화가 가능하다면서도, 사안별 노사정 대화를 당장 하겠다고 한다. 그는 노동시간 단축을 그런 사안으로 꼽았다. 그러나 며칠 전 집권 여당의 노동시간 관련 근로기준법 개악 시도는 그들을
조상수 후보조는

자신감
2번 이호동 후보조는 1번 김명환 후보조나 4번 조상수 후보조에 견줘 명백히 문재인 정부에 비판적이고 투쟁을 강조하고 있다.
이호동 후보는
이럴 때 문재인 정부와의 협력에 상대적으로 더 기운 지도부보다 그에 맞서 싸우겠다는 지도부가 들어서는 것이 노동자들의 투쟁이 활성화되는 데 좀 더 유리할 것이다.
노동자들은 지도자들의 교섭과 대화를 수동적으로 지켜볼 때보다 스스로 투쟁을 나설 때 자신감과 조직을 강화할 수 있다.
혁명적 좌파는 이 과정에서 독자적인 전망과 지향을 제안하면서 노동계급의 의식과 조직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