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영찬 노동사회과학연구소 연구위원장의:
스탈린주의 복고를 위한 애처로운 헛수고
〈노동자 연대〉 구독
올해는 소련이 붕괴한 지 30년이 되는 해다. 당시 소련은 심각한 위기에 빠져 있었고, 위기 대응 방향에 대한 이견으로 지배 관료 간의 쟁투가 격화됐다. 1991년 8월 보수파
그러나 1991년에 무너진 소련은 사회주의 사회였을까? 그렇다면, 1991년 소련에서는 한 생산양식에서 다른 생산양식으로의 전환, 즉 사회주의가 무너지고 자본주의가 되살아나는 퇴행이 일어난 것일 테다.
소련이 무너질 때 노동자 다수는 그 체제를 지키려고 하지 않았다. 소련 사회가 사회주의였다면, 노동자들은 그 사회를 방어하는 게 그들에게 득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소련 노동자들은 무너지는 소련 체제를 그냥 내버려 뒀고, 동정하지 않았다. 사회의 의사 결정에 관해 자신들에게 아무런 권한이 주어지지 않고, 경제력이 세계 2위이면서도 자신들에게 비누 하나 제대로 지급하지 못하는
1 스탈린주의 체제에 미련을 갖지 않았던 것이다. 비록 이후 실험해 본 시장 지향적
반면 소련의 지배계급
그런데 문영찬 노동사회과학연구소 연구위원장
“토니 클리프의 쏘련 국가자본주의론은 이론이라기보다는 사실의 왜곡에 기초한 악선동 모음집에 지나지 않는다. … 이제는 쏘련 붕괴의 영향을 극복하고 20세기 사회주의의 역사적 성과를 옹호하며, 20세기 사회주의의 역사를 21세기의 새로운 사회주의 혁명을 위한 자산으로 전환시켜야 할 때이다.” 3
과연 소련이 사회주의 사회였고, 토니 클리프의 주장은 그저 소련에 대한 악선동에 불과할까? 물론 소련이 사회주의 사회였다는 주장은 상식에 부합한다. 그러나 상식이 곧 진실은 아니다. 상식에 기댈 거면, 굳이 우리가 과학과 이론을 추구할 까닭도 없을 것이다.
이 글은 소련이 사회주의 사회가 아니라 자본주의의 한 변형태인 관료적 국가자본주의 사회였다는 토니 클리프의 주장이 옳았음을 보여 주려는 것이다. 그리고 문영찬이 펴는 변호론은 그 자체로 여러 이론적 결함과 오류를 내포하고 있다.
혁명과 반혁명
많은 사람들이 1917년에서 1991년까지 소련의 역사를 연속적인 것으로 여긴다. 즉, 1917년 10월 혁명으로 탄생한 사회가 그 본질적 성격을 오랫동안 유지했다가 1991년에 무너졌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레닌에서 스탈린까지 볼셰비즘의 정치 전통과 권력도 이어졌다고 보게 된다. 다만, 자유주의자들은 스탈린의 공포정치가 1917년 10월
문영찬은 옛 소련이 1917~1991년 내내 자본주의보다 우월한 사회였다고 보므로 레닌과 스탈린의
그러나 1920년대 말을 전후로 한 실제 소련의 역사는 연속적이지 않고 불연속적이었다.
1917년 러시아에서는 진정한 노동자 혁명이 일어났다. 1917년 2월 혁명으로 러시아 차르 체제가 붕괴했다. 모든 가능성이 활짝 열렸고, 러시아 사회는 엄청나게 급진화
반면 임시정부는 전쟁을 끝내지 않았고, 노동자에게 식료품을 배급하지도 못했으며, 농민에게 토지를 주겠다는 약속도 계속 저버리고 있었다. 자유주의자와 온건 사회주의자로 이뤄진 임시정부는 자신의 정당성을 스스로 약화시켰다.
결국 10월에 소비에트가 무장 봉기로 임시정부를 전복하고 정치 권력을 장악했다. 역사상 처음으로 노동자가 권력을 장악한 것이다. 현장에 특파된 미국 언론인 존 리드는 당시 분위기를 이렇게 전했다.
그러나 이후 러시아 혁명은 내우외환으로 점차 변질됐다. 혁명 러시아가 존속하려면 특히 혁명의 국제적 확산이 절실히 필요했다. 그러나 1918~1923년 진행된 독일 혁명을 비롯한 국제 혁명은 끝내 실패했다. 러시아는 국제적으로 고립됐다.
설상가상으로 서방 열강의 침공과 국내 반혁명 세력의 준동으로 내전이 일어났다. 혁명 러시아는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분투했지만, 사회적
고립된 신생 노동자 국가는 장기적으로 세계 자본주의의 경제적
“한 가지 해결책은 군사적 준비를 하는 동시에 혁명의 확산을 계속 지원하며 국제 혁명에 의지하는 것이었다. … 그러나 국제 혁명이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을 포기한다면, 소련의 생존은 오로지 군사적 방어에 달려 있을 것이다. 그러면 소련은 전통적인 군사적 위협에 전통적 방식으로 대응하는 전통적 국가처럼 행동해야 할 것이었다.” 4
그 과정에서 스탈린이 이끈 관료층이 성장했다. 생의 마지막에 레닌은 이런 경향의 발전을 우려하며 투쟁했다. 이것이 이른바

1923년 11월 독일 혁명이 결국 무산되고 1924년 레닌이 사망한 후 스탈린이 지도한 소련 관료
문영찬은 연재의 다른 글에서 스탈린의 일국사회주의론이 레닌의 주장을 계승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사실이 아니다. 문영찬은 레닌의 글
스탈린이 일국사회주의론을 천명하기 전까지 한 나라에서 무계급 사회로서 사회주의를 성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생각이 서구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물론이고 레닌을 비롯한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자들 사이에서도 공리
그러나 소련의 신흥 관료층이 보기에 신생 국가 소련을
일국사회주의론의 대두는 단지 이데올로기의 변화만을 의미하지 않았다. 일국사회주의론은 국제 공산주의 운동을 소련 국가의 이익에 종속시키는 것도 의미했다. 그리고 일단 정권이 국제 혁명에 기대를 걸지 않는다면 이제 선택지는 다른 자본주의 국가들처럼 군사력을 키워 강대국이 되는 것이었다.
곧 결정적 전환점이 찾아왔다. 1927년 영국이 소련과 외교 관계를 단절하며 전쟁 위협을 가했고, 국내에서는 농민이 도시에 식량 공급을 중단하면서 위기가 닥쳤다. 이런 안팎의 위기에 직면한 소련 관료는 두 위기가 가하는 압박에 끼여서 통제권을 상실할까 봐 두려웠다.
이런 상황에서 그들은 기존의 신경제정책
문영찬도 대외적 조건 등으로 스탈린이 급속한 공업화, 농업 집단화 정책을 추구할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7 그러나 그는
“레닌이 1924년 죽은 뒤에 스탈린이 추진한 ‘사회주의 건설기’ (1925~1936년) 에는 두 번의 5개년계획 (1928~1932년, 1933~1937년) 과 농업집단화 (1927년 결의, 1928년 개시, 1930년 결정적 강화, 1934년 거의 완료) 를 실시했습니다. 정부는 소농 (소규모 자영농민) 으로부터 일체의 생산수단을 빼앗아 그들을 임금노동자로 전환시켰는데, 이것은 《자본론》에서 말하는 자본주의로 가는 이행기에 필수불가결한 ‘자본의 시초축적primitive accumulation of capital’ 의 전형입니다. 그리고 정부는 농 · 공업 부문에서 착취한 잉여가치를 주로 중공업부문의 자본으로 전환함으로써, 자본주의적 착취와 축적을 통해 대공업을 건설하기 시작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볼셰비키의 당내투쟁이라는 형태로 진행된 스탈린파 노멘클라투라에 의한 국가권력의 찬탈은 1932년 전후의 위기를 견뎌내면서 완료되어, ‘노동자 · 농민의 국가’ 는 ‘소비에트 (평의회) ’ 라는 이름을 참칭하는 ‘노멘클라투라의 국가’ 로 최종적으로 전환하였습니다. 이리하여 1917년의 정치혁명에서 보였던 사회주의적 지향은 1930년대 초에 사라지고, 사실상 자본주의가 들어선 것입니다.” 9
스탈린 치하 소련의 경제 발전은 세계 자본주의 체제의 전복이 아니라 그 틀 안에서의 성공을 목적으로 했다. 그래서 소련 공업 투자의 80퍼센트 이상이 중공업에 집중됐다. 1920년대 중반까지는 경제의 원동력이 대중의 필요를 총족하기 위한 재화 생산이었지만, 1928년 이후로는 완전히 뒤집혀 버린 것이다. 사람들이 먹고 입을 소비수단의 생산은 생산수단의 생산에 체계적으로 종속됐다. 군수산업이 경제를 선도했고, 군사적 경쟁이 급속한 경제 성장의 전반적 양상과 전략적 우선순위도 결정했다.
1928~1929년 강제 집단농장화, 강압적 공업화 이후 소련 경제는 분명 급속히 성장했다. 그러나 경제적 후진국이었던 소련이 선진국들을 단기간에 따라잡으려면 노동자
스탈린이 주도한
스탈린에게 이견을 제시할 만한 사람들은 당과 국가의 상층과 기층 모두에서 제거됐다. 레닌 생전의 마지막 정치국원 모두가
1930년대 공포정치의 효과 하나는 스탈린 중심의 권력을 강화하고 그에 대한 도전과 이견이 일절 허용되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든 것이었다. 당시 검찰총장 안드레이 비신스키
권력 강화와 자본 축적을 뒷받침하기 위한 스탈린의 공포정치로 1917년 이전부터 형성돼 1917년 10월 혁명을 이끈 한 세대의 혁명가들이 완전히 말살됐다. 당시 공포정치 수준은 처형 규모만 봐도 알 수 있다. 정권이 규정한 명백한 정치범죄 혐의로 처형된 사람만 해도 79만 명에 이르렀다. 볼셰비즘과 스탈린주의 사이에는 트로츠키의 말 그대로
볼셰비키 선임 당원뿐 아니라 기층 노동자와 농민도 스탈린 반혁명의 희생자가 됐다. 정치적 테러도 중요했지만, 공포정치의 진정한 핵심은 사회적 테러였다. 스탈린 정권은 광범한 계층의 주민들에게 잔인한 폭력을 휘둘렀고 수많은 사람들을 엄청나고 극심한 착취와 억압에 종속시켰다.
“테러와 탄압의 사회적 기능을 보면 스탈린의 형벌 제도가 겉보기에 불합리하고 분별없고 동기가 모호했던 이유를 알 수 있다. 사회적 수단인 테러는 협소하게 특정 개인들을 겨냥할 수 없었다. 그것은 폭력적 변화의 수단이었고, 수많은 사람들의 생활 · 노동 조건에 영향을 미쳤고, [강제 노동 수용소] 재소자 수백만 명의 노예노동까지 포함한 최악의 사회적 억압 형태를 강요했다.”12
중공업과 군비 증강에 우선순위가 놓이는 바람에 대중의 생활 조건은 악화됐다.
문영찬은
그러나 1929년 스탈린에게 투항하기 전 프레오브라젠스키가 처음에 주장한 것은 농민에게 폭력을 사용해 강제 집산화하자는 것이 아니었다. 내전과 신경제정책 시기에 해체되다시피 하고 힘이 약화된 노동계급을 성장
반면 스탈린은 농민의 의사에 반해 강제로 토지를 집산화했다. 강력한 억압 조치를 동원해 급속히 추진한 집산화 과정에서 부농, 중농, 빈농을 가리지 않고 농민의 엄청난 희생이 뒤따랐다.
스탈린 정권은 강제 집산화로 더 많은 곡물을 확보해 도시에 식량을 공급했을 뿐 아니라 곡물 수출도 늘려 그 수익으로 서방에서 플랜트와 기계설비를 수입할 수 있었다. 1928~1931년 해외 시장에서 소련의 곡물 판매는 56배나 증가했다. 14 그리고 집산화 과정에서 많은 농민이 도시로 이주하게 돼 도시에 새로운 노동력이 대거 공급됐다. 모스크바의 산업 노동자들은 1928년 18만 6500명에서 1932년 43만 3900명으로 늘었다. 단기간에 이뤄진 이런 대규모 이촌향도는 국가의 억압 없이는 불가능했다. 15
노동자들도 스탈린의
문영찬은 이런 사실들에 대해 전혀 다르게 주장했다. 예컨대 그는 소련에서 임금이
그러나 실제 현실은 이와 달랐다.
노동조합의 진짜 임무는 노동자 착취를 지원하는 것이었다. 이는 다음과 같은 노조 규약에 명시돼 있었다.
문영찬은 스탈린이 실시한 제1차 5개년계획으로 노동자 임금이 5년 동안 100퍼센트 증가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명목임금이 늘었더라도 높은 인플레이션, 형편없는 배급제, 소비재 부족 등이 그런 효과를 상쇄하고도 남았다. 실질임금은 오르지 않고 대폭 떨어졌고, 노동자들의 생활 수준은 크게 후퇴했다. 알렉 노브는 1928년을 기준 연도로 했을 때
더 많은 연구들은 제1차 5개년계획 동안 실질임금이 반토막이 났다고 지적한다.
문영찬은 노동자 간의
스탈린은 성과급 도입 외에 스타하노프 운동도 벌였다. 이는 경쟁과 착취를 강화하는 효과를 냈다.
1928년 이후의 소련은 1917년 혁명 때와는 완전히 다른 사회였다. 스탈린 이래 소련 지배자들은 레닌을 신격화했지만, 정작 레닌을 다룬 저작의 출판은 엄격히 제한했다. 공산당 간부들도 레닌을 잘 몰랐다.
1927~1928년 반혁명으로 스탈린이 재편한 소련 사회는 서방 자본주의와 본질이 다르지 않은
그러나 여기서 핵심 물음은 그 국가와 생산수단을 누가 통제하느냐다. 노동자인가 아니면 다른 사회 집단인가? 소련 노동자들은 국가를 전혀 통제하지 못했다. 국가와 생산수단은 모두 노동자와 유리된 사회집단인 관료의 수중에 있었다.
사실 국가가 경제에 적극 개입하고 생산을 책임지는 것은 20세기 중반 자본주의의 추세였다. 이런 국가자본주의 경향은 1930년대 대불황에 의해 가속돼 1970년대까지 세계 자본주의의 유력한 경향이었던 것이다. 특히, 남한 같은 후발 국가들은 미약한 민간 자본들을 대신해 국가가 자본 축적 과정을 진두지휘했다. 따라서 옛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의 국유 경제 체제는 1930~1970년대 세계 자본주의의 추세 속에서 유별난 게 아니라 그저 극단적
가치법칙과 소련
문영찬은 세계 자본주의와의 연관성 속에 소련 사회에 가치법칙이 결국 관철된다는 토니 클리프의 주장을 비판하며, 가치법칙이 자본주의의 근본 법칙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렇게 썼다.
“가치법칙은 상품의 등가교환을 규정하는 법칙이고 가치법칙이 관철된다는 것은 그 사회가 상품생산 사회라는 것을 가리킨다. 그런데 상품생산은 노예제 사회에도, 봉건제 사회에도 부분적으로 존재했었다. 그러면 가치법칙은 이들 사회와 자본주의 사회의 공통점을 가리키는 것이지, 자본주의의 고유한 특성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24
그래서 문영찬은 소련 사회에서 가치법칙이 부분적으로 관철된다고 해서 소련 사회가 자본주의임을 입증하는 건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이는 가치법칙을 유통 과정에서 비로소 적용되는 것으로 보는 관점인데, 마르크스
문영찬은 자본주의의
자본주의의 주된 동역학은 경쟁적 축적이 개개의 자본에 외적 강제 법칙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런 경쟁 압력 때문에 개별 자본가들은 노동생산성을 증대시키려고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노동생산성이 증가한다는 것은 상품을 생산하는 데 들어가는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시간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사회적 필요노동시간에 견줘 덜 효율적인 생산자의 추가 노동은 가치를 창출하지 못한다. 따라서 가치법칙은 서로 다른 활동들 사이에 노동이 배분되고, 비효율적 생산자들이 불리해지는 과정을 반영한다.
경쟁 때문에 자본가들은 자본주의 생산의 내재적 법칙을 외부적 강제로 느낄 수밖에 없다. 자본가는 끊임없이 이윤을 재투자하지 않을 수 없고, 이렇게 축적하지 않는 자본가는 경쟁에서 밀려나기 십상이다. 따라서 자본주의적 경쟁은 자본들이 생산 효율을 서로 비교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가치법칙 때문에 자본가들은 다른 자본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노동자들을 더욱 착취해야만 한다. 따라서
그리고 가치법칙의 압력을 반영해 자본가들은 자기 기업 내부에서 생산을 계획한다. 따라서 가치법칙은 개별 기업과 국가의 관료적 통제나 계획과 상충하지 않는다.
19세기 말, 자본의 집적과 집중으로 대기업들이 등장했다. 자본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그 자본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력도 커진다. 즉, 가격과 가치가 필연적으로 조응하지 않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대기업들은 시장 진입 장벽을 높이거나 비시장적 방법
그러나 독과점이나 국가 개입 등으로 서방 자본주의에서 가치법칙이 부분적으로 변형되긴 했지만, 법칙 자체가 폐기된 것은 아니었다. 경쟁의 형태가 변한 것이지, 자본주의적 경쟁 자체가 사라진 게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는 소련 경제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문영찬은 소련에서
그러나 외부의 경쟁
많은 사람들이 자본주의 국가들의 군사적 경쟁을 자본주의적 경쟁이 아닌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이는 정치와 경제를 분리시키는 잘못된 관점이다. 국가를 지배하는 자들은 군사적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경제력이, 따라서 노동생산성이 경쟁국보다 뒤처지는 것을 막으려 애쓰게 된다. 경쟁국이 노동자들에 대한 착취율을 높여 더 많은 잉여를 투자할 것이므로 자신들도 마찬가지로 착취율을 높여야 한다. 경쟁국들이 항상 신규 기계설비류와 기술혁신에 투자하므로 자신들도 그렇게 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그 나라의 구체적 노동이 세계적 수준의 추상 노동과 연관을 맺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자본주의 하에서는 군사적 경쟁을 통해서도 생산성 향상을 위해 각국 내부의 노동과정을 재편해야 한다는 압력이 끊임없이 형성된다. 마치 경제적 경쟁이 각 기업 내부의 혁신을 추동하는 것처럼 말이다. 19세기 제정 러시아가 군사 경쟁에서 영국
그래서 소련의
1937년 스탈린에게 충성하는 한 소련 경제학자는 이렇게 지적했다.
“선진 자본주의 나라들의 기술적 · 경제적 수준을 따라잡고 앞질러야 한다는 과제는 결코 모종의 고정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 목표 자체가 역동적이다. 자본주의의 전반적 위기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나라들의 경제는 결코 완전히 정체 상태에 있지 않다.” 28
소련 관료들은 외부의 역동적인 경쟁 압력에 대응해 경제 목표를 세워야 했고, 그에 따른 문제가 잇따랐다. 따라서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 사회에서 진정한 의미의
문영찬은 소련에서
경쟁적 축적 논리는 소련에서 낭비, 비효율, 성장의 불균형을 낳았다. 소련에서도 서방과 마찬가지로 경쟁 압력 때문에 경제 성장기에 가용 자원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생산을 확대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면 경제 전반에서 병목 현상이 나타나고 과잉생산 위기를 막기 위해 국가가 나서서 사후적으로 계획을 수정해야 했다. 이때마다 항상 타격을 받는 것은 소비재 생산 계획이었다.
이처럼 소비를 희생시켜 투자를 확대하는 일이 반복되고, 앞서 언급했듯이 경제의 불균형도 심화됐다. 소련 총생산물 중 소비로 가는 비중이 1928년에 60.5퍼센트였는데, 1940년에는 39퍼센트, 1985년에는 불과 25퍼센트였다.
소련 국가자본주의도 모든 자본주의 경제가 겪는 고전적 문제에 직면했다. 즉, 축적 과정에서 노동력보다 총투자가 더 빨리 증가함에 따라 축적 자체가 축적을 잠식하는 경향을 보인 것이다. 소련에서 자본 대비 산출 비율은 1951~55년 2.4에서 1956~60년 1.6으로, 1961~65년 1.3으로 계속 하락했다. 즉, 신규 생산물 한 단위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불변자본의 양이 계속 증가했다.
그래서 소련에서 투자한 루블당 산업 생산량의 연평균 증가율은 1951~1955년 6.4퍼센트, 1956~1960년 5.1퍼센트, 1961~1965년 4.7퍼센트로 감소했다. 1985년 국민생산 대비 투자율은 적어도 1965년만큼 높았지만, 산업 성장률은 50~60퍼센트 감소했다.
즉, 소련도 불황을 피할 길이 없었다. 1991년 이전에 이미 소련 경제는 만성적인 성장 정체로 인한 심각한 위기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었다. 이런 위기가 1991년 소련 붕괴의 가장 주요한 요인이었음은 물론이다.
1985년에 집권한 고르바초프가 페레스트로이카
소련 관료는 지배계급이 아니었는가?
문영찬은 소련의 당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산수단을 지배하는 사람들이 자본가 계급이다. 그런데 주의할 점은 생산수단의 지배를 그것의 법률적 소유 여부로 규정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김수행 교수의 지적을 언급할 만하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생산수단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임금노동자들이 생산과정에서 생산수단을 타인의 것, 자본가의 것으로 상대하며, 여기에서 법적 관점에서 보면 ‘자본주의적 사적 소유’ 는 개개의 자본가가 각각 사적으로 생산수단을 소유하고 있다는 의미를 가지지만, 본질적 관점에서 보면 ‘자본주의적 사적 소유’ 는 자본가계급이 생산수단을 노동자계급으로부터 분리하여 독점하고 있다는 것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어느 사회가 자본주의인가 아닌가를 판단할 때는 ‘사적 소유’ 또는 ‘국가 소유’ 라는 표층의 ‘법적 표현’ 을 볼 것이 아니라, 표층의 배후에 있는 생산의 심층에서 누가 생산수단을 노동하는 개인들로부터 분리하여 독점하고 있느냐 아니냐, 노동하는 개인들이 생산수단에 대해 타인의 것으로 상대하고 있느냐 아니냐, 그리고 생산수단이 노동하는 개인들을 지배 · 착취하고 있느냐 아니냐를 보아야만 합니다.” 31
마르크스도 계급이 법률적 소유 여부라는 형식적 개념이 아니라 생산관계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고 봤다. 계급은 생산과 착취에 대한 관계 때문에 다른 인간 집단에 맞서 함께 집단적으로 행동할 수밖에 없는 인간 집단이다. 32
역사를 돌아보면, 유사한 유형의 착취적 생산관계들이 상이한 소유 형태들과 공존할 수 있었다. 예컨대 중세 유럽 가톨릭교회는 광대한 면적의 토지를 소유했고 수많은 농민이 교회의 토지를 경작했지만, 주교나 추기경 등은 개인적으로 토지를 소유하지 않았다. 그러나 생산관계 때문에 교회의 농민도 영주의 농노와 마찬가지로 착취당했다. 교회와 농민의 관계는 봉건 영주와 농노의 관계와 똑같이 봉건적 생산관계였고, 따라서 교회는 봉건적이었다.
계급에 대한 이런 이해는 현대 자본주의의 지배계급을 이해하는 데도 필요하다. 예컨대 오늘날에는 기업에 고용된 사장, 즉 전문 경영자가 많다. 그런데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들을 자본가 계급의 일부로 보지 않는 것은 오류다.
반면 문영찬은 이렇게 주장한다.
문영찬이 말한
소련은 서방 못지않게 사회적 불평등이 심한 사회였다. 관료들은 지위에 걸맞게 노동자들에 견줘 수십 배의 소득을 얻을 수 있었다. 서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배계급 성원들의 소득을 정확히 계산하기는 어렵지만, 한 조사를 보면 소련에서 가장 가난한 가구 10퍼센트가 전체 소득에서 3.4퍼센트를 차지한 반면 상위 10퍼센트의 가구가 24.1퍼센트를 차지했다. 이런 격차는 1970년대 말 이후 더 벌어졌다. 1960년 전체 소매 매출의 3분의 1은 일반 대중이 이용할 수 없는 특별 상점에서 이뤄졌다. 35
권력이 있으면 얼마든지 특권을 누릴 수 있었다. 보리스 옐친은 자서전에서 소련 공산당 정치국원들이 어떤 특권을 누렸는지를 보여 줬다. 그들은 전용 식당에서 최고급 요리사들이 만든 음식을 먹었고, 가사도우미가 있는 넓은 집에서 살았다. 정치국원들은 정원, 테니스코트, 당구장, 개인 극장까지 갖춘 별장에서 주말을 보냈다. 정치국원과 그 가족들은 개인 비행기도 이용할 수 있었다. 36 그러나 이것은 단지 개인적 일탈이 아니라,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불평등과 특권의 산물이었다.
지배 관료의 이런 특권은 그들이 국가와 생산수단을 지배하는 데서 비롯했다. 지배 관료는 축적 과정을 통제하는 국가자본가가 된 반면, 노동자와 농민은 가차없는 축적 압력에 종속됐다. 이것이 소련에서 지배계급 권력의 객관적 토대였다.
자녀에게 상속도 못하는 관료가 무슨 지배계급이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문영찬도 그렇게 생각하는 듯하다. 그러나 오늘날 서구 자본주의 사회에서 국가 부문의 경제를 보면, 얘기가 사뭇 달라진다. 공기업에서는 당연히 법률상의 사적 소유가 없다. 그래서 공기업은 어떤 개인에게 상속되지도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공기업에서 계급 지배와 착취가 없는 게 아니다. 서구 자본주의의 국가 관료와 공기업 경영자들은 기업을 소유하지는 않지만 분명히 자본 축적 과정을 통제한다.
또, 서구 사회에서 지배계급 사람들은 직접적 상속 외에도 특권적 교육 등을 이용해 자기 자녀에게 노동자 자녀들은 꿈도 못 꿀 기회를 제공한다. 소련도 본질적으로 마찬가지였다. 소련에서 지배계급의 재생산은 상속보다는 더 광범한 공식
문영찬은 1928년 스탈린주의 변혁으로 1인 경영이 확립된 것은 과거 레닌이 공장장 1인 체제를 주장한 것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37 그러나 이는 맥락과 목적의 차이를 무시한 주장이다. 러시아 내전 때는 생산의 붕괴와 혼란상이 정말 심각했다. 이로 인한 산업의 완전한 붕괴를 막기 위해 레닌은 불가피하게 1인 경영을 강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레닌은 경영 전문가들이 노동자들, 노동조합, 소비에트 정부의 압력에 복종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리고 내전 이후 레닌이 소련이
반면 스탈린은 국가자본주의 반혁명을 추진하면서 기업에서 트로이카 체제
소련에 노동 시장이 존재했는가?
문영찬은 토니 클리프가
문영찬의 지적대로 자본주의와 임금노동은 불가분의 관계다. 봉건제나 노예제 사회 같은 전자본주의 사회와는 구분되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고유한 특징
노예나 농노 등과 달리, 임금노동만이 경쟁이 개별 기업에 강요하는 끊임없는 노동과정의 혁신에 적합한 노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임금노동을 통한 잉여가치 추출은 노예나 농노를 일하게 만든 물리적 강제가 아니라, 경제적 강제에 주로 의존한다. 그래서 임금 형태, 임금률 등은 노동자들이 일을 더 열심히, 더 잘하려고 애쓰는 직접적 동기로 작용한다.
그래서 노동시장을 통해 노동력은 자본의 필요에 따라 경제 전체에 배분된다. 임금률의 편차는 상이한 부문에서 노동자의 수요
그렇다면, 소련에서 노동력은 상품이었고 노동 시장이 존재했을까? 결론부터 밝히자면 그렇다. 처음에 토니 클리프는 소련에서는 고용주가 한 명
소련의 지배 관료도 서방 자본가처럼, 노동자에게 열심히 일하라고 독려하고 설득해야 했다. 이를 위해 성과급 같은 인센티브 제도도 도입됐다. 소련 노동자들은 정치적 권리가 극도로 제약당했지만
따라서 노동자들이 기업을 옮겨다닐 수 있고, 기업 책임자들이 인센티브를 통해 노동력을 붙잡아 두려고 하면서 소련에서 고도로 발전된 노동 시장이 창출됐다. 알렉 노브는 이런 과정이 이미 국가의 강압이 두드러진 제1차 5개년계획 기간에도 작용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시장 압력 (즉, 상이한 종류의 노동에 대한 수요와 공급) 은 두 가지 방식으로 상대적 소득에 영향을 미쳤다. 첫째, 그것은 정부의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만일 주어진 임금률로 기계공, 목수, 광원, 컴퓨터기사나 혹은 북극권에 기꺼이 일하려는 사람이 충분히 없다면 공식적인 소득 등급은 공급 반응을 확보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종종 변경된다) . 둘째, 공식 등급은 잘 변경되지 않고 현지 사정에 맞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기업 관리자들은 공식 등급을 피해 나가는 방법들을 찾으려고 한다.” 41
이처럼 소련의 임금과 그 편차는 자의적으로 결정되지 않았다.
물론 소련 노동자들이 무제한으로 이직할 수는 없었다. 법적 제약이 분명 존재했고, 앞서 언급했듯이 소련의 기업 경영자들은 대체로 당장 실적이 저조해도 훗날 생산을 늘려야 할 것에 대비해 대량 해고보다는 불안정하나마 고용을 유지하는 것을 선호했다.
그러나 당대에 서방의 대다수 나라에서도 완벽한 노동시장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았고, 모두 국가와 기업의 필요에 따라 제약됐다. 제2차세계대전 종전 후의 호황기에 일본, 서독 등 많은 선진국에서 대기업 노동자들의 이직률은 매우 낮았다. 자본가들은 호황기에 숙련 노동자들을 붙잡아 둬야 했다. 일본 대기업의
그렇지만 노동시장은 자본주의 경제 부침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소련에서는 사실상 완전고용 상태를 유지했지만, 실업이 없는 건 아니었다. 그리고 소련 경제가 가라앉으면서 실업은 더는 감출 수 없는 문제가 됐다. 고르바초프의 최고 경제 자문이었던 아벨 아간베기얀은 1965년 주요 도시의 실업률이 8퍼센트였고 소도시의 실업률은 20~30퍼센트였다고 지적한 바 있다.
왜곡과 오류
문영찬의 글에는 터무니없는 왜곡과 오류가 너무 많다. 단지 토니 클리프를 비판한 부분뿐 아니라, 그의 연재 기사 전체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일일이 다 지적하고 반박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의 낭비일 뿐이지만, 몇 가지는 짚고 넘어가야겠다.
우선, 트로츠키주의자들이 나치와 결탁했다는 비방이다.
42 문영찬은 트로츠키주의자들이 이 때문에
그러나
트로츠키가 히틀러와 거래했다는 중상은 스탈린주의 반혁명으로 불만에 찬 소련 노동자들과 트로츠키파가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그리고 모스크바 재판과 그 전후로 진행된 대숙청은 한 세대의 혁명가들을 절멸시켰고, 트로츠키와 그 가족 구성원 대부분의 목숨도 빼앗았다.
1937년 미국의 유명한 철학자이자 교육학자인 존 듀이를 위원장으로 하는 조사위원회가 구성됐다. 이 조사위원회는 수차례의 청문회 끝에 트로츠키에 대한 중상이 근거 없다는 평결을 내렸다.
정작 나치와
둘째, 트로츠키주의가 농민을
1917년 이전에 트로츠키는 러시아에서 노동자와 농민의 동맹 문제를 소홀히 다루지 않았다. 농민 반란은 러시아에서 거대한 힘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자본주의가 농촌을 도시에 종속시켰고, 이는 혁명 운동에도 적용됐다. 러시아에서도 농민은 부농, 중농, 빈농 등으로 분화돼 있었다. 게다가 개인주의적 토지 분할을 목적으로 하는 농민 반란은 자신의 독립적인 정치 강령을 만들 수 없었다. 트로츠키는 농민을 노동자 혁명의 편에 서게 하려면 노동계급이 자신의 계급투쟁 방식으로 결연하게 지배계급에 맞서 투쟁해야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 농민들은 부르주아지가 아니라 프롤레타리아를 지지하게 될 것이다.
농민이라는 사회집단이 사회주의 세력은 아니라는 것은 혁명적 마르크스주의 전통에서 트로츠키만의 생각이 아니었다. 마르크스는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에서 농민의 원자화된 특징
레닌의 견해도 마찬가지였다. 그도 농민을 여러 계층으로 분화된 집단으로 이해했고, 그래서 1917년
마지막으로, 토니 클리프가 소련을 국가자본주의라고 비난한 것은
토니 클리프가 스탈린주의 체제를 비판한 내용은 서방 제국주의자들의 소련 비판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영국을 비롯한 서방 제국주의는 자본주의 체제를 수호하고자 한다. 그러나 클리프를 비롯한 국제사회주의경향은 자본주의 체제 전복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소련 스탈린주의 체제에 대한 비판의 방향이 정반대다. 문영찬은 바로 이런 본질적 차이를 무시하면서 조잡한 흑백 논리로 클리프의 주장을 왜곡한 것이다.
마치며
소련이 붕괴된 지 30년이 지났지만, 옛 소련 사회의 성격 문제는 좌파가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쟁점이다. 소련 사회가 어떤 사회였는지는
국가자본주의론은 미국과 영국처럼 신자유주의 선도국에서도 국가 부문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분의 1이 넘는 현대 자본주의를 이해하는 데도 중요하다. 그리고 소련 사회의 성격 이해는
문영찬처럼 일당 독재의 국유 경제를 사회주의라고 오해하고 이를 대안으로 제시한다면, 마르크스
마르크스와 엥겔스, 레닌 등이 생각한 사회주의는 노동계급의 자력 해방, 즉 노동자들이 정치적 지배력을 획득해서 사회 생활의 모든 측면을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었다. 이는 당연히 소비에트 같은 노동자들의 민주주의 기구들을 통해 이뤄진다. 마르크스가 1871년 파리 코뮌을 보고 코뮌이 생산수단 국유화 같은 조치를 취하지 않았는데도 프롤레타리아 독재
우리는 100여 년 전 러시아 혁명의 이상을 회복하고 계승해야 한다. 그러려면 옛 소련 사회의 진정한 성격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 참고문헌
- 김수행 2012, 《마르크스가 예측한 미래사회》, 한울아카데미.
- 김하영 2017, 《오늘날 한국의 노동계급》, 책갈피.
- 노브, 알렉 1998, 《소련경제사》, 창작과비평사.
- 드레이퍼, 핼 1986, 《계급과 혁명》, 사계절출판사.
- 리브만, 마르셀 2007, 《레닌의 혁명적 사회주의》, 풀무질.
- 문영찬 2020a,
‘20세기 사회주의의 역사적 성격 (3) ’ , 노동사회과학연구소 (http://lodong.org / wp / archives / 13421) . - 문영찬 2020b,
‘20세기 사회주의의 역사적 성격 (4) ’ , 노동사회과학연구소 (http://lodong.org / wp / archives / 13633) . - 문영찬 2021,
‘20세기 사회주의의 역사적 성격 (14) ’ , 노동사회과학연구소 (http://lodong.org / wp / archives / 15479) . - 이정구 2017,
‘학술적 유행을 열심히 따르는 정성진 교수의 우경화’ , 〈노동자 연대〉 208호. - 캘리니코스, 알렉스 1993, 《역사의 복수》, 백의.
- 클리프, 토니 2011, 《소련은 과연 사회주의였는가: 국가자본주의론의 분석》, 책갈피.
- 헤인스, 마이크 2021, 《다시 보는 러시아 현대사》, 책갈피.
- F. 엥겔스 1989, 《반뒤링론》, 이성과현실.
- Murphy, Kevin 2005,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Class struggle in a Moscow Metal Factory, BerghahnBooks.
- Nove, Alec 1987, The Soviet Economic System, Unwin Hyman.
- Reiman, Michal 1987, The Birth of Stalinism: The USSR on the Eve of the
“Second Revolution” , Indiana University Press. - Volkognov, Dmitri 1994, Lenin: Life and Legacy , Harper Collins.
1989년 시베리아 광원 파업의 주요 요구 하나가 일이 끝난 뒤 몸을 씻을 비누를 제공하라는 것이었다.↩
헤인스 2021, pp409~410.↩
문영찬 2021.↩
헤인스 2021, pp124~125.↩
문영찬 2020a.↩
이정구 2017.↩
문영찬 2020b.↩
문영찬, 같은 글.↩
김수행 2012, p151.↩
Reiman 1987, p89.↩
문영찬 2021.↩
Reiman 1987, p118.↩
노브 1998, p235.↩
캘리니코스 1993, pp57~58.↩
Murphy 2005, pp187~188↩
문영찬, 같은 글.↩
노브 1998, p234.↩
헤인스 2021, pp340~341.↩
노브 1998, p233.↩
Muphy 2005, p187.↩
문영찬, 같은 글.↩
클리프 2011, p23.↩
Volkognov 1994, p4.↩
문영찬, 같은 글.↩
F. 엥겔스 1989, p392↩
문영찬, 같은 글.↩
문영찬, 같은 글.↩
헤인스 2021, p166.↩
문영찬, 같은 글.↩
문영찬, 같은 글.↩
김수행 2012, p153.↩
김하영 2017, pp53~54.↩
김하영 2017, p54.↩
문영찬, 같은 글.↩
헤인스 2021, pp294~295.↩
헤인스 2021, pp320~321.↩
문영찬, 같은 글.↩
문영찬, 같은 글.↩
클리프 2011.↩
클리프 2011에 부록으로 실린
‘임금노동과 국가자본주의’ 를 보시오. 필자도 알렉스 캘리니코스의 이 글을 많이 참조했다.↩ Nove 1987, p203.↩
문영찬, 같은 글.↩
드레이퍼 1986, p249.↩
리브만 2007, p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