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윤석열 퇴진 운동 팔레스타인 투쟁과 중동 트럼프 2기 이주민·난민 우크라이나 전쟁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중동·북아프리카에서 발생한 기아와 저항

4월 2일부터 이슬람에서 종교적으로 가장 중요한 한 달인 라마단 단식 기간이 시작됐다. 이 기간 동안 많은 무슬림들은 낮 시간에 단식을 하며 배고픔을 느낀다. 가난한 사람들과 연대하고 나누라는 종교적 가르침에 충실하려 노력하는 것이다. 해가 지면 가족끼리 모여 앉아 하루의 단식을 끝내고 음식을 즐긴다. 한국의 명절 때 볼 수 있는 풍경이다.

하지만 무슬림 인구가 다수인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올해 라마단은 예년과 다른 풍경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식량 위기 때문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세계 곡물 수출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20년 전 세계 밀 수출에서 러시아는 18퍼센트를, 우크라이나는 8퍼센트를 차지했다. 특히 중동과 아프리카 국가들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산 밀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서방의 러시아 경제 제재와 전쟁 때문에 우크라이나산 밀 수출이 막히면서, 중동과 아프리카 사람들의 식탁은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필수 식료품인 밀과 식용유 등의 가격이 치솟으면서 예년 대비 동일한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는 식료품 양이 크게 줄었다.

우크라이나산 밀이 전체 수입의 60퍼센트를 차지하는 레바논에서는 식료품 가격이 지난 한 달 동안 14퍼센트나 올랐다. 주식인 빵의 경우 27퍼센트, 식용유는 무려 83퍼센트가 올랐다.

기후 위기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동아프리카의 소말리아는 이미 지난 수십 년 동안 가뭄에 시달려 곡물 재배나 목축업이 쇠락해 왔다. 이곳에서도 식용유 가격이 일주일 새 두 배가 뛰었다. 밀과 식용유의 100퍼센트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 수입하기 때문이다.

소말리아와 국경을 접한 에티오피아 사람들이 음식과 식용유를 배급받고 있다 ⓒ출처 Claire Nevill/ WFP

중동 최대 인구 대국인 이집트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이집트는 밀 수입의 70퍼센트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 의존해 왔는데, 이는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전체 밀 수입량의 절반 가량이다. 이집트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치솟은 식량 가격을 감당하지 못해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했다.

이집트의 노동계급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7000만 명 가량이 정부 보조금으로 저렴하게 공급되는 빵에 의존하고 있다. 이집트에서 빵은 아랍어로 ‘에이쉬’, 말 그대로 “삶”인데 말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집트 정권이 서방과 러시아 사이의 제국주의 간 충돌이 일으킨 폭풍을 무사히 넘길 수 있을지 미지수다.

서방 제국주의자들은 민주주의와 인권을 운운하며 러시아를 제재하고 있지만, 그것이 전 세계의 가난한 민중과 노동계급에게 미치는 여파에 대해서는 눈곱만큼도 관심이 없다.

그러나 제국주의 전쟁이 낳은 위기와 고통은 저항을 불러올 수 있다. 이미 이라크, 수단, 스리랑카 등에서는 식료품, 기름 등의 물가 인상에 항의하는 저항이 벌어지고 있다. 2011년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을 휩쓴 아랍 혁명의 배경에도 물가 인상이 있었다.

이 지역의 지배자들은 민중의 반란을 극도로 두려워하며 어떻게든 물가 인상을 통제하려 할 것이다. 하지만 이들의 운신의 폭은 그리 넓지 않아 보인다.

이메일 구독, 앱과 알림 설치
‘아침에 읽는 〈노동자 연대〉’
매일 아침 7시 30분에 보내 드립니다.
앱과 알림을 설치하면 기사를
빠짐없이 받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