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2호기 폐쇄! 수명연장 반대!
〈노동자 연대〉 구독
고리 2호기가 또 고장나 정지됐다. 한국수력원자력은 6월 3일 고리 2호기의 냉각재 펌프를 작동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에 불이 나 발전기가 자동 정지됐다고 밝혔다.
고리 2호기는 석 달 동안 정기검사를 받고 5월 30일에 가동을 재개했는데 불과 사흘 만에 또 고장이 난 것이다. 고리 2호기는 1983년에 가동을 시작해 올해로 39년이나 운영됐고, 내년이면 40년인 설계 수명이 만료되는 노후한 핵발전소다.
윤석열 정부와 핵산업계는 이런 노후 핵발전소의 부품을 최신 부품으로 교체해 수리하면 설계 수명보다 10년을 더 운영해도 안전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위험천만한 시도다.
핵발전소는 핵분열 반응에서 나오는 열로 증기를 만들고, 그 증기가 발전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만든다. 그런데 핵연료(우라늄)에서 일어나는 핵분열 반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성질이 있다. 냉각재는 그 반응이 폭주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열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해 증기를 만든다.
따라서 냉각재가 제대로 순환하지 않으면 발전이 정지될 뿐 아니라 핵분열 반응이 일어나는 노심의 온도가 계속 높아져 중대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그 결과는 다른 발전소나 산업 시설에서 생긴 사고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를 떠올려 보라.
문제는 이 냉각장치에 고장이 날 가능성이 결코 낮지 않다는 사실이다.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핵분열 반응을 통제하려고 만든 3중 4중의 장치들은 매우 복잡하다. 또 고압의 냉각재를 순환시키느라 상당한 압력을 받게 된다. 이런 상태로 40년을 가동하면 곳곳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 당연하다. 시간이 흐를수록 사고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문제가 생기기도 하는데, 심지어 건설 당시에 이미 불량 부품을 사용한 사례나 부실 시공을 해 콘크리트 벽에 커다란 구멍이 생긴 사례도 있었다.
지금은 폐쇄된 고리 1호기의 경우 2007년에 수명 연장이 결정돼 10년을 더 운영했는데, 그 10년 사이에 일어난 고장·사고만 7건이나 된다. 특히 사람의 실수로 벌어진 2012년 사고 당시에는 냉각기를 작동시키는 전원이 완전히 차단돼 하마터면 중대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었다.
지난 3월 발생한 동해안 산불도 핵발전소 운영에 근본적 위험이 도사리고 있음을 보여 줬다. 산불 때문에 울진 핵발전소에 전력을 공급하던 전선이 끊겨 비상디젤발전기가 가동됐고 발전소 측이 출력을 대폭 낮추는 등 위험천만한 상황이 벌어졌다. 이런 자연재해가 일어날 때마다 핵발전소는 중대 사고 위험에 놓이는 것이다.
그런데도 윤석열 정부는 고리 2호기를 시작으로 임기 내에 10개 가까운 노후 핵발전소의 수명을 차례로 연장하려 한다. 기후 위기에 대응하면서도 저렴한 전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게 이유다.
그러나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를 대규모로 공급하는 게 훨씬 나은 선택이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에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데에서도, 평범한 사람들에게 저렴한 전력을 제공하는 데에도 재생에너지가 더 효과적이다.(관련영상 보기)
윤석열 정부가 이런 사실을 무시하고 핵발전을 사실상 유일무이한 대안인 것처럼 주장하는 것은 이미 지어 놓은 핵발전소를 운영해 추가 재정 지출을 피하려는 것이다. 동시에 ‘잠재적 핵무기 원료 공장’인 핵발전소를 계속 운영해 장차 핵보유국이 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기도 하다. 윤석열은 핵잠수함과 핵항공모함의 원천 기술이 될 소형모듈원전(SMR) 개발도 서두르고 있다.
이 모든 시도는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로 한 것이다. 이 위험천만한 시도는 좌절돼야 한다.
부산과 전국의 탈핵 운동 단체들은 윤석열 취임 직후부터 기자회견과 집회, 농성 등을 이어왔다. 6월 18일에도 부산에서 집회가 열릴 예정이다.
고리 2호기 폐쇄 운동에 지지와 연대를 보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