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덕여대 학생 본관 점거 투쟁:
예견된 안전사고 방치한 총장 퇴진을 요구하다
〈노동자 연대〉 구독

6월 7일 동덕여대에서 한 재학생이 안전 설비 미비로 인한 학내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비극이 있었다. 이에 6월 12일 1000명이 넘는 동덕여대 학생들이 학교 측에 책임을 묻고 김명애 총장 퇴진 등을 요구하는 학내 집회를 열었다. 이들의 지지 속에 다음날 학생 수십 명이 본관 점거에 돌입했다.
누군가의 친구, 선배, 후배였을 소중한 학우를 떠나보낸 학생들은
고인이 참변을 당한 장소는 동덕여대 학생들이 가장 많이 수업을 듣는 두 건물 사이 경사로였다. 쓰레기 수거용 대형 화물차를 비롯해 여러 차량이 오가는 가파른 경사로인데도 인도와 차도가 구분돼 있지 않았다.
학생들은 6년 넘게 안전 대책을 요구해 왔지만 학교 당국이
2018년 취임한 김명애 총장은 지난해 연임했다. 따라서 김명애 총장이 참변의 핵심 책임자라는 학생들의 지적이 옳다.
안전 대책 요구를 무시해 온 총장과 학교 당국은 사고 이후 침묵으로 일관했다. 결국 고인이 사망하자 장례식장에 온 총장과 관계자들은 유가족이 참변의 원인과 책임을 물었을 때에도 아무런 답변도 내놓지 않았다.
“막을 수 있었다. 학교는 없었다!”
6월 12일 동덕여대 총학생회가 주최한 학내 추모 집회에 참가한 학생들은 절절한 애도와 분노를 쏟아 냈다.
고인과 같은 과 동기였던 학생은 이렇게 말했다.

학생들이 집회를 연 날 오전, 학교 당국은 학교 웹사이트에 공문을 올려
그러나 학생들이
학교 당국이 사고 이후에도 열흘이 넘도록 제대로 된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고 학생들은 분통을 터뜨린다.
집회 다음 날, 학생들은 본관 1층을 점거했고 현재까지 지속하고 있다. 학생들은 점거를 유지하며 총장과 실무진들, 교수들의 회의에 찾아가 학생들의 요구를 알리는 피켓 시위를 벌였다.
시험기간인데다 날씨도 무더워지고 있지만 학생 수십 명이 매일 점거에 동참하고 있다. 학내 청소 노동자 등의 연대도 이어지고 있다.
학교 당국은
고인의 또 다른 동기인 한 학생은 이렇게 말했다.
또 다른 학생은 이렇게 말했다.
학생들의 항의가 커지자 김명애 총장은 학교 웹사이트를 통해 19일 사과문을 게재했다. 그러나 학생들은 항의를 계속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동덕여대 학생들의 투쟁에 지지와 연대를 보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