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9일 팔레스타인 연대 25차 집회·행진:
“이집트 정권은 라파흐 국경 개방하라”
〈노동자 연대〉 구독

3월 9일 오후 이태원 일대에서
140만 명에 이르는 팔레스타인 피란민들이 오도가도 못하고 있는 라파흐 지역의 넓이는 한국의 울릉도와 비슷하다. 이 좁은 곳에서 피란민들은 수시로 폭격당할 뿐 아니라, 구호품 반입 봉쇄로 물자가 극도로 부족해 목불인견의 참상을 겪고 있다.
이런 라파흐를 이스라엘 지상군이 공격한다면 어마어마한 대학살이 벌어질 것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집회가 열린 만큼, 참가자들의 표정은 결연했다. 집회 시작 전부터 자리를 지킨 한 중학생은

이태원 이슬람 서울중앙성원의 정오 예배가 끝나는 오후 1시 30분경, 예배를 마친 무슬림들과 여러 국적의 사람들이 팔레스타인 깃발과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며 성원에서 이태원거리까지 행진했다.
행진 대열의 기세는 주변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인근 식당
예배를 마치고 귀가하던 브루나이 여성 10여 명은, 지난해 11월에 브루나이에서 열린 팔레스타인 연대 시위에 참가했는데 몇 달 만에 머나먼 한국에서 다시 시위를 만나 반갑다며 기꺼이 행진에 동참했다.
이태원거리로 나온 대열은 짧게 집회를 가졌다. 발언자들은 라파흐를 생지옥으로 만든 이스라엘과, 그런 이스라엘을 지원하는 미국, 라파흐 국경을 봉쇄해 사실상 이스라엘에 협조하는 이집트의 압둘팟타흐 시시 정권을 맹렬히 규탄했다.


공범
재한 팔레스타인인 나심 씨는


뒤이어 마이크를 잡은 이집트인 알리 씨는

노동자연대 김광일 활동가도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이 굳건히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김광일 활동가는 이스라엘에

“이집트 정권, 부끄러운 줄 알라”
집회를 마친 대열은 라파흐 국경 봉쇄를 규탄하기 위해 주한 이집트 대사관을 향해 행진하기 시작했다. 대열은 집회 시작 때의 갑절로 불어 있었다.
행진은 사람들의 큰 주목을 받았다. 행진과 같은 방향으로 걷던 외국인 행인들이 구호를 함께 외치고, 인근 식당에서 일하는 듯한 한국인 여성들이 고무장갑을 벗어들고 구호 박자에 맞춰 팔뚝질을 하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이집트인들이 대열 선두에서 마이크를 잡고 구호를 선창했다. 구호 소리는 이집트 대사관에 가까워질수록 드높아졌다.
대열이 한남오거리를 거쳐 대사관이 보이는 곳에 다다르자, 대열 선두의 이집트인들은 아랍어로 맹렬히 구호를 외쳤다.


함께 행진한 여러 국적의 참가자들도
집회 참가자들은, 3월 16일
그간 팔레스타인 연대 집회
라파흐에서 무시무시한 대학살이 벌어질 가능성은 실질적이다. 학살 주범 이스라엘과 그 공범들을 규탄하는 글로벌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의 구실이 더없이 중요하고, 이 운동이 굳건히 계속돼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