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지도부의 잘못된 연대 전략:
보험료 인상 수용한다고 정부가 복지 책임질까?
〈노동자 연대〉 구독
지난 4월 7일 국회도서관에서
이주호 단장은 이를 위해 연간 10조 원의 재정이 추가로 필요한데 그러려면 현재 53퍼센트에 그치는
그런데 이주호 단장은 이전에 진보진영에서 제출한 재정 대안은
그러나
그래서 같은 토론회에서 김태현 민주노총 정책실장은

게다가 노동자들이 보험료 인상을 받아들인다고 정부와 기업주들이 양보할 리도 없다. 2005년 건강보험공단 연구결과, 수가를 인하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제도개선을 전제로 수가 인상에 합의했지만 정작 공급자단체
물론 가장 가까이에서 이런 일을 겪어 온 이주호 단장이 모를 리 없다. 그리고 바로 그 사실 때문에, 지난 3월
보건의료노조 지도부는 보험료 인상을 통한 보장성 강화가 아니라 정부 재정 투자 확대를 통한 무상의료를 요구해야 한다. 파견근로가 아니라 직접 고용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만들기를 대안으로 제시해야 한다. 그 수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