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편지
교육 공공성의 운동의 주체는 ‘교수ㆍ학생ㆍ연구자' 모두다
〈노동자 연대〉 구독
〈레프트21〉 25호의 이기웅 교수 기고는, 자본주의가 대학과 학문을 어떻게 위협하며 이에 맞서 우리는 어떻게 싸워야 할지 분명하게 보여 주는 기사다. 현재 정부가 추진하려는 정책에 대학구성원, 즉 교수, 연구자, 학생이 공통의 이해관계를 갖는다는 점, 그리고 대학의 진정한 개혁은 바로 이러한 자본과 정부의 부당함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점이다.
1968년을 전후한 저항의 분위기에서 벌어진 1964년 학생시위에서, 미국 버클리 대학의 학생활동가 마리오 사비오의 말처럼
이기웅 교수의 글은 〈레프트21〉 23호의 김광렬 교수 기고로부터 계속된 김종환 씨의 이견 제시가 말끔히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때마침 나온 기사라 매우 반갑다.
나는 김종환 씨가 대학 주요 구성원인 교수와 학생을 기계적으로 대립시키는 바람에 총장직선제와 학생자치권 같은 대학 내 민주주의 문제를 마치 학생의 이해관계와 상관없다고 보는 등의 오류를 낳았다고 생각한다. 혹시 교수가 쓴 글이라고 해서 교수의 입장에서
지금 정부가 추진하는 법인화 정책은 대학에 자율성을 보장한다는 미명 아래 시장과 기업 입맛에 맞는 산업인력을 키우는 예비적 단계로 대학교육을 전락시키려는 것이라는 것은 부정하기 어려운 사실이다. 이런 계획에 교수들을 복무하게 만들거나 교수 스스로 그 일부가 돼라고 요구하는 것이다.
대학 구성원인 교수나 학생 모두 학문의 자유를 보장받으려면 어느 한쪽의 이해관계에만 맞는 요구를 내걸 수는 없는 것이다. 그래서 김종환 씨의 말처럼 국립대 법인화나 교육공공성에 반대하는 운동의 호소 대상을
5백30여 개 학생
또,
김광렬 교수의 기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