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그런 세대는 없다》:
세대론 거품 걷어내기에 유용한 책
〈노동자 연대〉 구독
최근 여러 해 동안 주류 언론과 정치권에서는 다양한 세대 담론이 쏟아져 나왔다. 특히 MZ세대론, 이대남, 이대녀 등 청년세대 담론들이 유행처럼 번졌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사이에서 공감대가 생겨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또한 특정한 격변의 시기에 사회 전반에 강렬한 영향을 끼치는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는 세대들도 존재한다. 해외로 치면, 이른바 68세대가 그럴 것이고, 한국에서는 이른바 86세대가 있다.
그러나 모든 세대가 공감대 이상의 강렬한 시대 경험과 정치적 동질성을 공유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것을 과장
신진욱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의 신간 《그런 세대는 없다》는 그런 피상적 세대론들을 반박한다.
세대 내 불평등

이 책은 실제로 존재하고 또 중요한 것은 세대 간 격차가 아니라 세대 내 불평등이라고 강조한다.
물론 저자는 일부 청년세대 담론이 신자유주의 물결 속에서 평범한 청년들이 고통스럽게 사는 현실을 잘 드러냈다는 점을 인정한다. 2000년대 유행한 세대론인 《88만원 세대》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저자는 이 책이
세대론은
저자가 볼 때 진정한 기득권 집단은 기성세대 전체가 아니다. 586세대라고 불리는 현재 50대 10명 중 7명은 서비스판매직
저자는 청년층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은 물음을 던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세대론, 누가 왜 부추기나
이 책의 두 번째 장점은 주류 정치권이나 기성 언론이 허구적 세대론을 부추기고 퍼트려 왔음을 잘 폭로한다는 것이다.
주류 정치권은 세대론을 이용해
가령 저자는 박근혜 정부 때인
문재인 정부하에서는 인천국제공항 비정규직 정규직화 논란이 벌어졌을 때 언론들이 이를
저자는 오늘날 청년들 다수가 공정 경쟁과 능력주의를 중시한다는 주장은 일면적이라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요약하면, 저자가 특별히 문제 삼는
그는 기성 세대의 다수는 고졸 노동자이고, 비난 대상인 비정규직 정규직화 대상도 대부분 청년이라고 지적한다. 또한 지금의 청년층이 보수화하고 있다는 것도 실증해 보면 사실이 아니라고 지적한다.
청년들이 보수화한 것이 아니므로 청년들의 지지를 받겠다고 우경화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다만
대신 저자는 세대 갈등론을 극복할 대안으로 청년들이 주체가 되고 가치 지향에서 공통 분모를 가진 사회 운동들에 주목한다.
2010년대 이후 노동
청년들 자신의 몫이 중요해졌다는 뜻이고, 그것이 사회 운동으로 구현돼야 한다는 것이다.
위기 속에서 집권하는 윤석열 정부의 신자유주의적이고 우파적인 행보에 실망하고 반발하는 청년들이 생길 것이다. 그들에게 열려 있는 광범하게 급진적이고 개방적인 대중운동이 꼭 필요한 이유다. 나는 여기에 마르크스주의 정치가 기여할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세대는 없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