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 전략적 야권연대는 노동계급의 발목을 잡을 뿐
〈노동자 연대〉 구독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1월 26일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와
심상정 대표가 이런 제안을 한 까닭은
사실 2014년 지방선거 성공 이후 각종 재

이것이 대중이 전반적으로 우경화했고 그래서 박근혜 정부의 입지가 탄탄하다는 표시였을까? 그 뒤 전개된 상황을 보면, 그렇게 보기는 어려울 듯하다. 측근 부패, 세월호 시행령, 노동개악 반대 투쟁, 여권 내분 등으로 박근혜 정부는 거듭
오히려 최근의 선거 결과는 박근혜에 맞설 정치적 수단으로서 현재의 제1야당을 사람들이 영 못마땅해 하는 현실을 보여 줬다.
민주당 세력은 박근혜에 맞서는 모양새를 취해 선거에서 반사이익을 얻어 보려고 했다가도 박근혜가
이는 민주당이 비주류일지라도
따라서 노동운동은 더불어민주당
그러나 노골적 자본주의 정당과의 전략적 연대는 노동운동의 정치적 독립성을 크게 훼손시킨다. 계급을 초월한 동맹을 유지하려면 노동운동은 자본가들을 불편하게 만들 계급투쟁 방식의 저항을 포기하라는 압력을 받게 된다.
정치 활동의 주 무대가 국회와 부르주아 언론 노출로 옮겨지면 이른바
이런 상황은 노동자들이 경제적 힘을 사용해 투쟁하며 계급의식을 발전시키는 데 해가 된다.
배신적 타협과 불가피한 타협의 구분
심상정 대표는 신년 기자회견에서 다음처럼 고충을 털어놨다.
그렇다고 해서 소선거구제 아래서 지역구 당선이 유력한 진보 후보들조차 민주당 등과 후보 단일화 압력에 시달린다는 사실을 무시할 순 없다. 노동계 후보 간에도 단일화가 쟁점이 된다. 한쪽 후보가 전략적 야권연대를 추구하는 경우다.
후자의 이유로 분열했던 창원 성산
그 점에서 야권연대를 원칙으로 거부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경직된 태도일 것이다. 우리는 전술에서 불가피한 타협과 불필요한 타협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그래서 노동자연대는 다음과 같은 전술적 야권연대 방침을 내놓은 바 있다.
총선에서
다행히도 창원 성산에서는 민주노총과 지역 진보단체들, 노회찬, 손석형 두 후보가 신속히 합의해 민주노총 창원 조합원들의 총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울산 북구
그러나 이 경우에도 민중단일후보 선출 후 이 후보들이 새누리당 후보들과 박빙일 때 더민주당 후보와의 단일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는 문제는 남는다. 이 문제를 회피하는 방식으로 선출된 단일후보에게 일방적 행동의 여지를 줘서는 안 된다.
이 경우, 투쟁의 전진을 위해 불가피한 타협이냐, 배신적 타협이냐가 중요한 기준일 것이다. 대중이 단결해서 자력으로 싸우는 과정이 가장 효과적으로 계급의식과 자신감을 고양시키기 때문이다. 이런 기준에서 볼 때, 선출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