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서민의 삶을 보호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긴급재난지원금
〈노동자 연대〉 구독
3월 30일 문재인 정부는 3차 비상경제회의를 열어 전국 1400만 가구
정부가 뒤늦게나마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한 것은 코로나19 확산과 경제 위기 심화로 고통받고 있는 노동자

그러나 문재인 스스로
우선, 정부가 지급 대상을 소득 하위 70퍼센트 이하 가구로 정하자 온갖 혼란이 발생했다. 4인 가구 기준으로 소득 하위 70퍼센트의 기준은 대략 월 소득 700만 원 정도일 것으로 추산되는데, 어지간한 맞벌이 가구도 지원받지 못하는 것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매출이 크게 줄어든 자영업 가구도 지원받지 못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자신이 수혜 대상인지 확인하려는 사람들이 폭주해 정부 사이트가 불통이 되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는 재난지원금 재원 중 20~30퍼센트를 지자체에 부담시키겠다고도 밝혔다. 이 때문에 이미 재난지원금 지급을 추진하고 있던 지자체들이 정부의 재난지원금으로 대체하거나 자체 지원금을 축소하고 있다.
이처럼 지원 대상과 금액이 모두 줄어들어서 정부가 부담하는 재원은 고작 7조 1000억 원에 그친다. 모두에게 100만 원씩 52조 원을 지급해 소득 감소와 해고 위험으로부터 노동자
꾀죄죄한 복지 확대도
한편, 모두에게 지급하는 게 아니라 하위 70퍼센트 이하 가구에만 지급하기로 결정하다 보니, 지급 대상 기준을 정하고 선별하는 데 시간이 걸리게 됐다. 문재인은
전대미문의 위기
그런데 보편적 재난소득에 반대하거나 소극적인 일부 좌파들이 있다.
이들은 이런 요구가 하층 노동계급을 보호하는
물론 기존 기본소득 논의에는 비판적으로 볼 점들이 꽤 있다. 그러나 현 위기는 지배자들도 인정하듯이 코로나19 확산과 경제 위기가 결합된 전대미문의 위기이다. 이런 긴급한 위기 상황에서 고용 보장이나 기존 복지 확대를 보편적 재난소득 지급과 대립시키는 것은 부적절하다. 해고 위협으로 고용 불안이 커진 노동자들뿐 아니라 이번 위기로 일자리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업자들, 임금 삭감 압박을 받는 다양한 노동자들, 노동계급의 이웃이거나 친구인 영세 자영업자들을 보호하려면 보편적 재난소득 요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기존 복지의 폭을 넓힌다고 하더라도 자본주의 국가의 복지 제도가 근본적으로 선별적이고 까다로운 관료적 제도라는 점에서도 보편적 소득 지원보다 못하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이번 긴급지원금 지급 결정은 문재인 정부가 노동자
노동자들도 이윤에 타격을 입힐 수 있는 자신의 힘을 행사해 노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