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지 한 통에 2.1초, 택배 한 통에 30초?:
과로사 부추기는 ‘집배 업무 강도 시스템’
〈노동자 연대〉 구독
집배노조가 7월 18일 서울고용노동청 앞에서
문재인 정부가 집배원 등 공무원을 충원해 공공부문 일자리를 늘린다는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집배원들은 여전히 과중한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2012년
그런데도 우정본부가
이 시스템은 우편물 배달 과정의 각 업무별
노동자들은 지킬 수 없는
그런데도 우정사업본부는 이 시스템을 집배노동자의 노동강도를 높이고 인력 충원을 회피하는 근거로 계속 사용해 왔다. 최근 이 시스템에 따라
지난 7월 7일 우정본부는 이 시스템의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우정노조
그러나 노동자들은 기존 시스템을 고쳐 쓸 것이 아니라 즉각 폐지해야 한다고 얘기한다.
이미 우정본부는 2018년 말에 현
계속되는 중노동
퇴직과 병가 등 부족 인원이 계속 발생하는데도, 우정본부는 제대로 충원하지 않고 있다. 노동자들은
우정본부가 집배노조와 면담하면서 올해 추진하려던 인력 재배치는 철회하겠다고 말했지만, 인원 충원을 미적대는 것은 집배 인력 구조조정을 계속 시도하겠다는 속셈이다.
우정본부는 지난해 비용 절감을 이유로 약속한 정규 집배원 2000명 증원 계획을 파기했다. 대신 특수고용 노동자인 위탁택배원 등 비정규직으로 일부 대체해 왔다. 우정본부는 2000년대 초반부터 꾸준히 특수고용 등 비정규직을 늘려 왔는데, 2025년까지 위탁택배원이 담당하는 구역을 45.3퍼센트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올해는 소형우체국 폐국, 정규직 업무 아웃소싱 등 우체국 통폐합과 조직인력 운영 효율화를 중점과제로 삼고 추진 중이다. 정규 인력 규모를 축소해 나가려는 것이다. 우정본부가
정규 인력 구조조정과 우체국 통폐합 등은 우편공공성 약화와 노동자들의 조건 악화로 이어진다. 올해 상반기에 소형 우체국 폐국이 추진되자, 전국적으로 해당 지역 주민들과 우체국 노동자들이 크게 반발했다. 지역 주민들의 우편서비스 이용에 불편이 커졌다. 우체국 통폐합으로 노동자들은 전환배치되거나 비정규직은 고용 불안을 겪고 있다.
우정본부의 인력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투쟁은 노동자들의 조건을 지키고 우편 서비스 악화를 막기 위한 정당한 투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