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윤석열 퇴진 운동 팔레스타인 투쟁과 중동 트럼프 2기 이주민·난민 우크라이나 전쟁

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논쟁에서 길 찾기

지금처럼 거대한 제국주의 전쟁을 헤쳐나가는(그리고 바라건대 살아남는) 경험은 매우 교육적이다. 예컨대 지배 이데올로기라는 것이 실재함을 확인시켜 준다. 예를 들어 전쟁 옹호자들이 하나같이 똑같은 표현을 쓰는 것을 보라. 러시아를 한결같이 “도둑정치 체제”나 “마피아 국가”로 일컫는다. 마치 그래서 미국과 나토의 정책이 정당화된다는 듯이 말이다.

거듭되는 모욕도 교훈을 준다. [영미권에서는] 나토를 비판하면 “탱키”라는 딱지가 따라온다. “탱키”라는 표현은 원래 1956년 헝가리와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의 대중 운동을 진압하려고 탱크를 보낸 당시 소련을 옹호한 스탈린주의자를 일컫는 말로 생겨난 것이다. 이런 딱지는 우리 사회주의노동자당(SWP)의 당원들 같은 사람들에게는 잘 붙지 않는다. 우리가 속한 정치 경향[국제사회주의경향]은 냉전이 본격화되던 1950년에 “워싱턴[미국]도 모스크바[소련]도 아닌 국제사회주의”라는 슬로건에 기초해 창설됐기 때문이다.

러시아군 철수, 나토 확전 반대 런던에서 열린 전쟁저지연합의 반전 집회 ⓒ출처 〈소셜리스트 워커〉

사실, 지금의 전쟁에 대한 최상의 비판자들은 스탈린주의에 대한 반대로 명성이 높은 사람들이다. 《뉴 레프트 리뷰》는 냉전기에 우리와 똑같은 노선을 취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스탈린주의 지배 체제에 대한 좌파적 반대를 줄곧 지지했다. 그리고 이런 비판적 입장을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에 대해서도 계속 견지했다.

필자는 《뉴 레프트 리뷰》의 파트너 출판사 버소의 신간 두 권을 읽고 있다. 토니 우드의 《푸틴 없는 러시아》(2018)는 러시아의 모든 것이 푸틴의 사악한 개성에서 비롯한다는 주장을 반박하고자 한다. 우드는 러시아가 여러 면에서 “정상적인”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사회라고 주장한다.

《반대파 중의 반대파》(2022)는 러시아 사회주의 저술가·활동가인 일리야 부드라이츠키스의 글들을 엮은 책이다. 이 글들은 푸틴이 침공을 정당화하며 내세운 권위주의적 대(大)러시아 국수주의 이데올로기를 탁월하게 해부한다. 부드라이츠키스는 1950년대 이래 스탈린주의 정치체제하에서 생겨났던 수많은 마르크스주의적 반대파들의 역사를 재구성하는 매우 흥미로운 장문을 쓰기도 했다. 안타깝게도 그 반대파들은 소련 국가보안위원회(KGB)에 의해 모조리 분쇄됐다. 푸틴은 KGB에서 일한 바 있으니, 그의 반(反)마르크스주의는 정말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다.

역사적 책임

이번에 나온 《뉴 레프트 리뷰》 특별 통합호도 이 같은 비판적인 마르크스주의 관점에 기초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우크라이나에 관한 세 편의 글이 가장 중요하다. 그중 하나는 우드가 썼고 그의 저서에서 했던 분석을 토대로 한다.

“러시아 정부는 이 전쟁을 일으킨 책임이 있고, 결과와 상관 없이 이 전쟁이 이미 낳은 파괴에 무거운 도덕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 하지만 정당한 분노와 우크라이나인들에 연대하라는 즉각적 촉구가 역사적 책임에 관한 더 큰 물음을 가로막아서는 안 된다. 미국과 나토의 동맹국들은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수십 년간의 지정학적 경쟁에서 가장 강력한 진영으로서, 침공의 맥락을 형성하는 데에 일정한 구실을 할 수밖에 없었다. … 러시아가 저지른 일이나 푸틴의 머릿속만 들여다보는 분석은 모두 기껏해야 편향된 착각이고, 가장 나쁘기로는 고의적 왜곡이다.”

《뉴 레프트 리뷰》 편집자 수전 왓킨스는 이번호 시론에서, 미국과 그 동맹국들이 옛 소련 붕괴 후 러시아의 약점을 가차없이 이용해 나토를 동진(東進)시킨 책임이 있다는 논지를 더 발전시킨다. 왓킨스는 오바마 정부 시절 미국 중앙정보국(CIA) 국장을 지낸 리언 파네타의 이런 말을 인용했다. “우리가 뭐라고 하든 이 전쟁은 러시아를 상대로 한 대리전이다.”

마지막으로, 우크라이나의 좌파 사회학자 볼로디미르 이셴코와의 흥미진진한 인터뷰가 있다. 이 인터뷰는 2013~2014년 키예프(키이우)에서 벌어진 “유로마이단” 시위 이후, 어떻게 더 강경하고 반(反)러시아적인 민족주의를 제도화하라는 극우의 요구를 “광범한 민족주의적·자유주의적 시민사회 진영”이 수용했는지를 추적한다.

“유로마이단 이전까지만 해도 매우 과격해 보였던 요구들이 적어도 활동가 집단이라고 부를 만한 층에서 갑자기 보편적이 됐다. 물론 그런 요구들은 실제로 사회 대다수의 지지를 받지는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이은 대선에서 페트로 포로셴코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가 승리한 것은 “민족주의적·자유주의적” 진영의 선거적 패배를 뜻했다. 그러나 두 대통령 모두 “민족주의적·자유주의적” 진영에 굴복했다.

그리고 이런 민족주의적 거품이 러시아의 제국주의적 힘을 재확립하려는 푸틴의 갈수록 필사적인 시도와 충돌한 것이다. 《뉴 레프트 리뷰》와 〈소셜리스트 워커〉, 《인터내셔널 소셜리즘》이 제시하는 것과 같은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은 이런 충돌이 낳은 공포를 헤쳐 나가는 데서 매우 절실하게 필요한 것이다.

이메일 구독, 앱과 알림 설치
‘아침에 읽는 〈노동자 연대〉’
매일 아침 7시 30분에 보내 드립니다.
앱과 알림을 설치하면 기사를
빠짐없이 받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