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윤석열 퇴진 운동 2023~24년 팔레스타인 투쟁과 중동 트럼프 2기 이주민·난민 우크라이나 전쟁

독자편지
2호 기사에 대한 짧은 의견 모음

박연차 스캔들’ 기사에 대해

사람들은 노무현 쪽이나 이명박 쪽 모두 깨끗할 리 없다고 생각하지만, 박연차 부패 스캔들은 대체로 이명박이 벌이는 민주당 공격의 일환이라고 생각한다.(물론 민주당에 대한 비판과 폭로가 내용에 들어간 것은 적절했다.) 1면 제목은 맞는 말이긴 하지만 반이명박 정서에 맞춰 제목을 정하는 게 더 적절했을 거라 생각한다.

그리고 1면을 부패 문제 보다는 수퍼 추경 문제나 MBC PD수첩 쟁점을 넣었다면 더 효과적이었을 것이다. 박연차 스캔들 같은 부패 스캔들은 꼭 다뤄야 하는 쟁점이긴 하지만, 1면에서 다뤄야 할 정도로 매우 중요하다거나 사람들의 관심이 높은 쟁점은 아닌 듯하다.

김은영

북한 로켓 발사’ 기사에 대해

미국과 일본, 이명박 정부의 위선적인 대응들을 속 시원히 폭로해서 좋았다. 그런데 북한이 인민의 필요를 우선 충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인공위성 발사에 엄청난 재원을 쏟아붓는 것이 옳은지에 대해서는 비판적 입장을 견지해야 했다.

임수현

생생한 폭로는 좋았다. 다만 분석이 좀 아쉬웠다. 추가 기사가 나왔지만 일본과 한국이 왜 이렇게 ‘오버’하는지를 분석하는 기사가 추가로 더 있었다면 좋았을 것이다. 일본은 북한 로켓 발사로 MD에 대한 정치적 정당성을 얻고 ‘실전훈련’도 시도하고 정권 지지율 반등도 노릴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남한 정부는 PSI 참여 등 강경하게 나오는데 사실 맥락을 모르겠다. 단지 정권 위기 돌파를 위한 북한 악마화하기나 좌파 사냥용인가? 그러기에는 PSI는 군사적 충돌을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남한 지배계급에게도 큰 부담일 텐데 왜 이렇게 ‘오버’하는지 궁금해졌다.

이승현

학교를 시장으로 만드는 2MB 교육 정책’ 기사를 읽고

기사 내용에 대해서는 대부분 동의하는 바다. 하지만 ‘2MB 정권의 신자유주의 파시즘’ 이라는 것에는 반대한다. 신자유주의와 파시즘이라는 단어가 서로 공존할 수 있는 것도 아닐 뿐더러 우리나라에는 여러 번의 우여곡절과 패배를 겪기는 했지만 여전히 적지 않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조직 노동자들이 아직 건재하고 명확하게 파시즘을 지향하는 단체 혹은 정치 조직이 있는 것도 아니다. 자신을 ‘법치’라 말할 정도로 이전 10년간 이 나라를 다스려 왔던 정권에 비해 더욱 권위주의적이고 더욱 무례하긴 하지만 말이다.

김기철

사형제’ 기사에 대해

범죄가 개인 성향이나 정신 상태의 문제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의 고통을 공감하지 못하는’ 체제에서 기인한다는 점과 ‘오심이나 정치적 신념, 사회적 편견 때문에 억울한 죽음을 낳을 개연성’ 때문에 사형제는 폐지되어야 하고, 사형제를 부활시킴으로써 ‘사회 통제를 강화’하고 속죄양을 만들어 ‘여론을 분산’시키려는 MB의 의도를 잘 비판했다.

개인적으로 사형제의 대안을 ‘가석방이나 감형 없는 절대적 종신형’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런 오류도 바로 잡게 해 주었다.

하지만 범죄의 원인이 체제에 있고 범죄 피해자나 유가족들에게 국가가 나서서 실질적인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점은 타당하지만, 그렇다면 범죄자 개인에게는 일체의 비판이나 비난을 유보해야 하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김기철

일자리와 이주노동자’ 기사에 대해

이주노동자의 규모가 작다면, 이주노동자 유입이 전체 실업률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미비하다는 것은 사실일 것이다. 이점 때문에 이주노동자 통제가 이데올로기적인 효과를 노린 공격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한 국가 내에서 이주노동자 비율이 높더라도 실업과 구체적인 연관이 없다는 자료를 인용한 것은 인상적이었다.

그런데 이주노동자 유입이 실업률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다면 이주노동자들이 소비자로서 고용을 창출하는 효과도 미비하지 않을까? 구체적인 근거가 없어 주장만으로는 설득력이 좀 떨어져 보였다.

지면 계획상 짧을 수밖에 없었던 것 같은데 이주노동자 기사에는 정치적 주장을 보완할 수 있는 구체적인 통계와 생생한 사례가 더 실렸으면 좋겠다.

임수현

‘근로’라는 말을 써도 괜찮을까요?

항상 존 몰리뉴의 칼럼을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그런데 존 몰리뉴의 칼럼 번역 중 ‘근로 민중’이라는 말을 보았을 때 고개가 갸웃거렸습니다. 본래 ‘근로(勤勞)’라는 말은 노동자들이 반드시 부지런해야 한다(勤)는 이데올로기를 깔고 있는 단어라고 알고 있습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이승만이 노동자들이 노동절을 기념 하지 못하도록 ‘근로자의 날’을 따로 만들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지금도 부르주아 매체는 노동절을 ‘근로자의 날’이라고 부릅니다.

진보언론을 표방하는 〈레프트21〉이 ‘근로 민중’이란 말을 쓰면, 독자들 중 일부는 다소 불쾌해하지 않을지 노파심이 듭니다.

〈레프트21〉 화이팅입니다.^^

허세만

제7차 카이로 국제회의 연기에 대한 설명이 없는 아쉬움

〈레프트21〉 창간호에는 제7차 카이로 국제회의 개최 소식과 함께 국제팀 김용욱 기자가 이 회의에 참가해 현지 소식을 전하겠다는 기사가 실렸었다.

나는 〈레프트21〉 2호가 나오기 며칠 전, 한 지인에게서 제7차 카이로 국제회의가 5월 중순으로 연기됐다는 것을 전해 들었다. 그런데 〈레프트21〉은 이런 소식을 언급하지 않아 무척 아쉬웠다. 나뿐만 아니라 다른 독자들도 제7차 카이로 국제회의 소식에 대해 궁금했을 텐데 말이다.

그간 카이로 회의는 미국 제국주의의 핵심적 전략지이자 약한 고리인 중동의 저항과 전 세계 반전·반신자유주의 운동이 만나는 중요한 회합 장소였다. 또한 ‘중동의 해방은 카이로를 통한다’는 말처럼, 중동에서 이집트가 차지하는 정세적 의미에서도 중요한 회의였다.

올해 카이로 회의는 이스라엘이 가자에서 정치적으로 패배한 후 열리는 것이다. 지난 이스라엘의 가자 침략은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에 즉각적인 대중적 항의 운동을 촉발시켰다. 특히, 이집트를 비롯한 중동에서는 친미·친이스라엘적인 자국 정부에 항의하는 시위로도 발전해 중동의 권위주의 정권들을 충격에 빠트렸다.

오바마가 아프가니스탄으로 확전을 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제 반전 운동은 새로운 도전에 응수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다. 이는 지난 4월 4일 아프가니스탄 재파병에 반대하는 첫 행동을 벌인 남한 반전 운동 진영의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자국 정부와 사장 들의 신자유주의 공격에 맞서 영웅적인 투쟁을 벌이고 있는 이집트 노동자·학생 들의 저항이 중동 정세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중요하다.

이런 정치적 의의에 비춰볼 때, 올해 카이로 회의도 이전 여느 회의만큼 전 세계 반전·반신자유주의 운동 세력들이 세계 경제 위기 시기에 제국주의 세계 체제에 맞서 우리 편의 전략적 사고와 저항 계획을 한 층 발전시키는 중요한 회의가 되리라고 본다.

그런 점에서 지난 2년간 카이로 회의에 참석해 많은 영감과 고무를 받은 나는 〈레프트21〉의 현지 취재 소식에 많은 기대를 갖고 있다. 〈레프트21〉이 중동의 정치적 급진화 소식을 한국에도 잘 전달해 한국 진보진영의 국제적 시야와 사고를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

신정환

이메일 구독, 앱과 알림 설치
‘아침에 읽는 〈노동자 연대〉’
매일 아침 7시 30분에 보내 드립니다.
앱과 알림을 설치하면 기사를
빠짐없이 받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