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시대 민주주의 투쟁을 ‘제대로 보는 법’
〈노동자 연대〉 구독
미디어 악법 날치기 통과로 이명박 정권에 대한 대중의 반감이 부쩍 커졌다. 쌍용차 파업에 대한 무자비한 진압 작전은 이명박의
그런데 이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대표적으로 〈시사IN〉 99호는 기획 특집

〈시사IN〉 고동우 기자는 이명박 퇴진론을 뒷받침하는
이택광 경희대 교수 또한 이런 비판에 동참한다.
물론 이명박 정권을 독재나 파시즘으로 규정하는 것은 과장이다. 이명박 정권이 집회 불허, 국가보안법을 이용한 탄압, 언론 자유 제약 등 반민주적 탄압을 일삼는 것은 사실이지만, 민주적 기본권이 1980년대 군사독재 수준으로 제약받는 상황은 아니다.
특히 한국 사회 민주화의 동력이었던 노동자와 피억압 대중의 운동과 조직들
그럼에도 이명박 정부를 반민주 세력으로 규정하는 것조차 반대하는 이택광 교수의 주장은 황당하다. 한국 사회가 독재로 회귀한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이명박 정권을 민주주의 세력이라고 규정할 수는 없는 일이다. 현재의 불완전한 민주화조차 학생과 노동자 계급의 투쟁을 통해 얻은 성과이고, 그 과정에서 보수 우파와 한나라당은 민주화를 계속 가로막고 후퇴시키려 한 세력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자본주의적 민주주의의 한계
고동우 기자의 지적대로
그럼에도 고동우 기자의 실천적 결론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고동우 기자는 이명박 정권이 취약하고 진정한 권력은 다른 데 있으므로 사실상 정권 반대 운동이 무의미하다고 말하려는 듯하다.
물론 자본주의의 근본적 변혁을 추구하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선출된 대통령이나 국회의원들이 아니라, 대기업 총수, 군대
따라서 이명박 퇴진으로 한국 사회의 주요 문제들이 모두 해결될 수 없다는 주장은 일리가 있다. 반정부 투쟁 외에도 경제 위기, 제국주의 전쟁과 경쟁, 차별과 억압, 소외, 착취와 불평등에 맞서며 이를 자본주의의 근본적 변혁과 연결시켜야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럼에도 지배계급 이익에 충실한
또한
사실 고동우 기자가
가령 박상훈 후마니타스 대표는 정권에 대한
김윤철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도 비슷하게 주장한다.
실제
자본주의적 민주주의는 진정한 민주주의와 거리가 멀다. 선출되지 않은 집단이 진정한 권력을 갖고 있고, 대중은 이들을 통제할 수 없다. 선출된 집단이 대중의 의사와 반하는 결정을 내려도 그들을 통제할 수 없기는 마찬가지다.
집권 초부터 수백만 대중의 저항에 부딪혔고, 지금껏 국민 다수의 환멸을 사는 정권이 단지 선출됐다는 이유로 임기를 보장받고 있는 현실 자체가 이를 잘 보여 준다. 촛불항쟁 때 수많은 대중이
정권 퇴진론의 현실성
한편 고동우 기자는 진보신당 관계자 인터뷰를 인용해, 정권 퇴진론은 현실성이 없다고 비판한다.
물론 엄청난 국가 탄압으로 대중 행동이 억압당하고 있고, 이로 인해 대중의 사기가 그다지 높지 않은 현 국면에서 당장 퇴진의 동력이 준비돼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앞으로도 지금 같은 조건이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우리는 이미 지난해 촛불항쟁을 통해, 대중 자신의 힘으로 정권 퇴진의 동력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경험했다.
서울 도심에서만 70만 명이 시위에 나선 6월 10일 전후로 정권의 지지율이 7퍼센트로 떨어지고, 퇴진 지지 여론이 40퍼센트에 이르렀을 때는 분명히 퇴진을 실질화할 수 있는 기회였다. 그러나 개혁주의 지도자들이 정권 퇴진을 운동의 목표로 삼기를 극구 거부하고, 촛불항쟁을 노동자 파업 등으로 확대시키는 것을 회피해 기회를 놓치게 됐다.
그럼에도 촛불항쟁을 거치면서 이명박 정권이 개혁 불가능한 정권이라는 점만큼은 대중적으로 분명히 입증됐다. 용산 살인 진압과 쌍용차 진압 등을 거치며 이런 점은 더 분명해졌다. 또한 이명박 정권은
따라서 지금이라도 퇴진을 운동의 목표로 삼고 조직하는 것은 충분히 정당하고 현실성 있는 일이다. 이런 점에서 민주노동당이 이명박 정권 퇴진 운동 건설을 결의한 것은 환영할 일이다.
물론 이명박 퇴진 이후에 박근혜 같은 정치인이 집권할 것을 우려하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이는 결정된 문제가 아니다. 퇴진을 어떤 힘으로 이루느냐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만약 대중 자신의 힘으로 정권을 퇴진시킨다면, 자신감을 얻은 대중은 진보적 대안을 찾으려 할 것이다. 물론 대안 부재 상황을 비집고 우파가 등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이들이 우파적 프로그램을 실행에 옮기는 것은 만만치 않은 상황이 될 것이다.
이명박 퇴진은 현실화할 수 있는 목표다. 다만 이를 위해 기존의 민주주의 투쟁 경험에서 배워야 한다. 이 경험들을 통해 배울 수 있는 핵심 교훈은 오늘날 민주주의 투쟁을 이끌 수 있는 세력은 노동자 계급이라는 점이다.
진정한 민주주의에는 한참 못미치는 자본주의적 민주주의조차 자본가들이 선사한 것이 아니라, 대중의 투쟁에 대한 지배자들의 양보로서 나타났다. 보통선거권은 서구에서 1백 년에 가까운 투쟁을 통해 쟁취한 것이고, 한국의 제한된 민주화 과정조차 1987년 6월 항쟁과 7
따라서 이명박 퇴진을 현실화하려면 노동계급이 경제 위기 고통전가에 맞선 투쟁과 함께 민주주의 투쟁에서도 주도력을 발휘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변혁적 좌파는 노동자 투쟁에 대한 물질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