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와 복지:
무상복지가 경제 위기를 낳는다?
〈노동자 연대〉 구독
얼마 전 고경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매경이코노미〉에 기고한 글에서

〈동아일보〉도 최근까지 열한 차례에 걸쳐
얼핏 그럴싸하게 들리는 이런 주장들은 실제로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
첫째, 1970년대 이전에 복지국가들에서 복지 지출은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지 않았다.
둘째,
전후 호황기에 주요 선진국 정부들이 앞다퉈 보편적 복지 제도를 도입한 것은 단지 노동자들의 요구만 반영한 것이 아니라 양질의 노동력에 대한 자본가들의 필요 때문이기도 했다.
그러나 오늘의 성공이 내일의 실패를 낳는 자본주의의 모순 때문에 이윤율이 떨어지고 전후 장기 호황이 끝났다. 성장이 정체하는데 복지 지출이 예전처럼
그래서 주요 선진국 정부들은 기업들과 부자들에게 세금을 깎아주고 복지 지출을 줄이는 데 필사적으로 매달렸다.
그러나 새로운 투자가 충분한 이윤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확신이 사라진 자본가들은 그 돈을
셋째, 한국 진보진영 안에는 그리스 등 지난해 남부 유럽 나라들이 경제 위기에 빠진 것이 복지 때문이라는 보수파들의 논리를 일부 수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큰 문제다.
그러나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
넷째, 일단 경제 위기가 시작돼도 복지에 사용할 돈이 없는 게 아니다. 이명박 정부가 재벌
놀랍게도 지난해 스톡홀름 국제평화문제연구소
요컨대 복지 확대가 성장 동력을 갉아먹는다거나 경제 위기를 낳는다는 얘기들은 모두 불평등한 구조를 수호하려는 기득권자들의 거짓말일 뿐이다.
따라서 진보진영은 무상복지 요구에서 한 걸음도 후퇴해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