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전교조 연대 운동이 건설되고 있다
〈노동자 연대〉 구독
박근혜 정부가 전교조 법외노조화를 시도하자 10월 초 8백20여 단체가 모여
연대 단체들의 이런 활동은 전교조 내부에서 교사 활동가들이 거부표를 호소하는 데 도움이 됐다.
정부는 전교조 탄압이 부당하다는 국내외의 여론에도 10월 24일 법외노조 통보를 강행했다. 긴급행동은 10월 20일 운영위를 열고
전국행동은 전국 16개 시도지역에서 전교조 방어 공대위를 구성하고 집회, 홍보전 등을 열 것을 호소했고 16개 시도 중 대부분의 지역에서 공대위가 활동을 벌이고 있다. 특히 서울에서는 10개 지역
활활
박근혜 정부의 공세에 전교조가 저지선을 구축하자, 박근혜에 반대하는 교사들은 고무받았다. 많은 전교조 교사들이 조합비를 납부하려고 CMS를 신청하고 있고, 이 시기에 전국적으로 2백여 명의 교사들이 새로 전교조에 가입했다.
법외노조화 공격 이후, 분회를 창립하거나 가입서
서울의 한 지회장은 정부의 법외노조 공격 이후 지회의 많은 조합원들이 전국교사대회를 비롯해 여러 집회에 참가하고 조합비 납부 CMS도 기존 조합원의 1백 퍼센트 가까이 조직되자,
지역의 진보적 활동가들은 법외노조 통보 후 전교조 교사들이 지역의 연대 활동에 열의 있게 참가하고 있어 지역의 연대 활동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고 말한다.
정부의 법외노조 통보 후 전교조 지도부는 아직 전 조합원들이 참가해 노동조합으로서 힘을 발휘하고 강력한 연대를 구축할 수 있는 투쟁 계획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전교조 지도부에 가하는 전교조 내 일부 활동가들과 일부 교육
이런 상황 때문에 전국행동과 지역 공대위의 여러 활동가들이
따라서 법원의 집행정지신청 재판이 진행되고 있고 정부의 본격적 탄압이 예고되는 지금, 전교조 지도부는 총투표로 드러난 전교조 조합원들의 의지를 전 조합원 연가 투쟁 등 집단적 투쟁으로 이어 가야 한다. 강력한 단체 행동이 있어야 강력한 연대도 구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