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위기와 구조조정:
노동자에게 위기의 책임 떠넘기지 말라
〈노동자 연대〉 구독
중국 조선업체가 최근 액화천연가스
물론, 업계에서는 한국 조선업체들의 기술력이 아직은 중국을 월등히 앞선다면서 나머지 LNG선 발주 물량은 가져올 수 있다고 기대한다.
설사 그렇게 되더라도 수주 부진을 면하기는 어렵다. LNG선을 포함해 전 세계 신조선 발주량 자체가 급감했기 때문이다.
영국의 조선
LNG선의 연내 발주 규모도 연초 예상보다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카타르의 대규모 LNG 프로젝트가 지난달 시작됐지만, 유가 급락으로 자금 사정이 나빠져 발주가 언제 이뤄질지 미지수다. 코로나19와 경제 위기를 감안할 때 하반기 전망도 매우 불투명한 상태이다.
긴축 경영 속에 흔들리는 임금·고용
이로 인해 한국의 조선업도 2016년 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1분기 수주량은 전년 동기 대비 81.3퍼센트, 수주액은 77.2퍼센트나 줄었다. 수주 잔량도 다시 급감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 조선업 불황이 지속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수주에서 건조까지 1년 이상 걸리는 조선업의 특성을 감안하면, 앞으로 적어도 2~3년은 보릿고개일 수 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구조조정 공격에 나서고 있다. 임금 삭감, 복지 축소, 전환배치와 외주화 확대 등의 얘기가 곳곳에서 나온다.
가령, 현대중공업은 지난 4월 코로나19 위기와 수주 감소에 대응해
이런 긴축 경영, 구조조정 압박은 최근 잇따라 발생한 산재 사망사고, 중대재해와도 결코 무관하지 않다. 긴축 경영 방침 때문에 안전 투자는 뒷전으로 밀렸고, 하청화, 인력 감축, 무리한 작업 속도 등으로 그나마 있는 안전 규칙조차 휴지 조각이 돼 버렸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산업재해나 해고 위협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수주가 줄고 수익성이 악화하자, 곳곳에서 비정규직 해고, 업체 폐업이 잇따르기 시작했다. 삼성중공업에서는 하반기에 해양플랜트 부문을 중심으로 대규모 비정규직 해고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잇따른 매각 추진 ... 일자리 위협하는 문재인 정부
문재인 정부는 조선업 구조조정 방향을 제시하고 이끌어 왔다. 정부의 조선업 정책은 2018년 이래 변함이 없다. 대형 조선소들은 구조조정을 통한 자구 노력을 하되 그중 대우조선은 현대중공업에 매각하고, 중형 조선소들은 인수합병을 추진하는 것이다.
특히 수십만 노동자
정부는 최근 잇따라 중형 조선소 매각에도 팔을 걷어 붙였다.
2008년 세계경제 위기 이후 중형 조선소 25곳이 부도
이번에도 노동자들에게 위기의 고통이 온전히 떠넘겨지고 있다.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말 각각 한진중공업과 대선조선을 연내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1000명이 넘는 노동자들이 고용 불안에 직면했다.
성동조선은 최근 매각이 완료됐는데, 인수자인 HSG 컨소시엄이 고용 승계를 약속했다. 그러나 올해 수주가 한 척도 없는 상황이어서, 노동자들은 올해 말까지로 예정돼 있는 무급휴직이 끝나더라도 공장에 다시 복귀할 수 있을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무급휴직을 실시한 STX조선의 경험을 보면, 이런 불안감은 실질적이다. STX조선은 2018년에 정부 주도로 노
정부가 일자리 책임져라
문재인은
몇 곳 남지도 않은 중형 조선소까지 팔아넘기려는 정부를 보며, 노동자들이
그렇다고 노동조합이 산업 정책에 개입하거나, 이를 위한 사회적 대화를 추진하는 것은 효과적인 대응이 못 된다. 지난 4월 금속노조와 조선업종 노조 지도자들은
그러나 지금처럼 경제 불황기에 산업 경쟁력을 유지
가령, 최근 금속노조와 조선업종노조연대 주최로 열린 한 토론회에서 발표자로 나선 박종식 창원대 연구원은 중형 조선소 경쟁력을 위해 업체 통합
그러나 이마바리 조선의 인수합병은 결코 노동자들을 위한 대안이 되지 못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의 한 연구보고서는 이마바리 조선이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의 하나로 적극적인 외주 인력 활용, 저렴한 인건비와 재료비 등을 꼽았다. 타사보다 외주 하청인력 비율이 50퍼센트가량 높고, 인건비가 20퍼센트 낮다는 것이다.
물론 토론회 발표자는 한국 조선업의 현 인력
사회적 대화도 결코 대안이 되기 어렵다. 2018년 성동
그러나 수년간의 무급휴직은 노동자들의 삶을 파괴하고, 고용률을 추락시키고, 지역 경제를 황폐화시켰다. 문재인 정부는 지금도
따라서 노동운동은 문재인 정부와 협력할 게 아니라 오히려 항의를 확대해야 한다. 그리고 정부에게 일자리 보장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
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