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사는 부실 대책, 정부는 수수방관
—
끊이지 않는 과로사에 택배 노동자 불만 폭증
〈노동자 연대〉 구독
10월 28일 롯데택배 파업 집회에서 노동자들은 과중한 업무, 장시간 노동, 임금
택배사들과 정부가 부실 대책, 책임 회피로 택배 노동자들의 과로사 문제를 방치하는 동안, 노동자들의 비극적 죽음은 끊이지 않고 이어지고 있다. 이달

주요 택배사들이 뒤늦게 내놓은 대책은 내용도 미흡하고 이행 시점도 불투명하다. 그래서 이번에도 택배사들이 여론의 비난만 일단 피해 가려고 꼼수를 쓰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택배업계 점유율 약 75퍼센트를 차지하는
빅3는 분류 인력 5000명
게다가 인력 투입 비용을 대리점과 협의하겠다고 밝혔는데, 벌써 CJ대한통운은 대리점주들을 불러 반반씩 부담하자고 제안했다고 한다.
꼼수
택배 노동자들은 특수고용직이라는 이유로 근로기준법상의 노동시간 규제를 적용 받지 못하고 있다. 산재보험도 전면 적용되지 않고 있다. 일반 노동자들의 경우 산재보험료 전액을 사용자가 내는 것과는 달리 택배 노동자들은 50퍼센트를 부담해야 했다. 택배사들은 이번 대책에서 대리점과 계약할 때 산재보험에 모두 가입하도록 권고하겠다고 한다. 그러나 권고라 강제성이 없을 뿐더러, 보험료 지원에 대해선 언급조차 없다.
이번 대책엔 임금
택배 노동자들은 배달하는 물건 당 수수료가 수입의 전부다. 그런데 택배사들은 계속해서 저단가 정책을 시행해 왔다. 노동자들의 수수료
일각에서는 택배 노동자들의 저임금을 개선하려면 배달 단가를 인상해야 한다면서 소비자들도 짐을 나눠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겨레〉는 10월 25일자 사설에서
하지만 이는 사측과 정부의 책임을 흐린다. 저단가 경쟁의 책임은 막대한 수익을 올리면서도
한편, 특수고용 노동자라는 신분 탓에 노동자들은 언제 계약 해지를 당할지 몰라 불안해 하며 택배사와 대리점주들의 횡포에 시달려 왔다. 그 속에서 로젠택배 기사는 10월 20일
정부의 책임 회피
택배 노동자들의 과로사가 속출하는데도 문재인 정부는 형식적인 근로감독만을 하며 수수방관해 왔다. 정부는 11월 중에나 관련 대책을 내놓겠다고 한다. 그조차 노동자들의 요구를 제대로 반영할지 미지수이다. 민간 사업자들을 어찌 할 수 없다며 책임을 회피하거나, 노동시간 규제 적용과 노동자성 인정, 산재보험의 전면 적용과 보험료의 사업주 전액 부담 등의 대책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국가기관인 우정사업본부
택배 노동자들의 과로사와 열악한 근무조건이 널리 알려지며 택배 노동자들의 조건 개선 요구에 지지가 확산되고 있다. 노동자들의 저항도 벌어지고 있다. 택배연대노조 소속 롯데택배 노동자들은 수수료 원상 회복과 작업 환경 개선을 요구하며 10월 27일부터 파업에 들어 갔다.
이러한 행동들이 더 확산된다면 택배사와 정부의 미봉책이 아닌 실질적인 개선책을 쟁취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