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택배 노동자 동행 취재 :
“쉴 틈 없는 14시간, 가족과 저녁 먹는 게 소원이에요”
〈노동자 연대〉 구독

코로나19 확산으로 택배 노동자들의 업무 과중이 매우 심각한 지경에 이른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안타까운 과로사가 계속 이어지며 택배 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 조건에 대한 사회적 공분도 일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택배 노동자들의 투쟁이 이어지고 부분적 성과를 거뒀다.
그럼에도 택배 노동자들의 불만은 여전히 높다. 11월 12일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너무 미흡하고 강제성도 없어 실질적인 개선으로 이어지기 어렵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크다.
본지는 한진택배 노동자를 동행 취재했다. 11월 19일 아침 6시 45분, 한진택배 이천여주지점 노동자들은 투쟁가와 집회로 하루를 시작했다. 이날도 신규 조합원의 노조 가입원서가 전달됐다. 박수가 터져 나왔다.

오전 7시, 분류 작업의 시작을 알리는 벨 소리가 크게 울렸다. 레일 위에 택배 상자들이 밀려 들었다.
밤새 대형 화물차에 실려 온 택배 상자들을 내리고 레일에 올리는 일은 이주노동자들이 도맡아 하고 있었다. 택배 기사들은 자기 구역의 상자를 재빨리 들어 차량 쪽으로 옮겼다. 한진택배엔 휠소터
특수고용 노동자인 택배 기사들은 아파서 쉬게 되면, 계약이 해지되거나 구역이 조정될 수 있다. 병가나 연차는 꿈도 꾸기 어렵다고 한다.
임현우 택배연대노조 이천한진지회장이 컨테이너박스로 만든 휴게실로 우리를 안내했다.
오전 10시가 되자 노동자들 사이에서 컵라면과 초코파이가 돌았다. 노동자들은 잠시 짬을 낼 여유도 없이 작업하던 자리에 서서 컵라면을 먹으면서 분류 작업을 계속했다.

여전한 공짜 노동
레일 위에는 엄청 큰 상자들도 적지 않았다.
한진택배 기사들이 물건 한 개를 배달하고 받는 수수료는 750원가량이다. 택배사 간 경쟁이 치열하다보니, 쿠팡 같은 대형화주업체들이 주는 물건의 규격에는 제한도 두지 않는다고 한다.
낮 12시가 다 돼서야 분류 작업에 끝이 보이기 시작했다. 여기저기서
경력이 10년 이상 된 한 노동자는
한진택배 사측은 분류 인력 1000명
정말이지, 배송 출발 전까지 5시간 동안 노동자들은 잠시도 쉬지 않고 분류 작업을 계속 했다. 그나마 취재팀이 방문한 목요일은 물량이 많지 않은 날이라고 한다.

정오부터 차량들이 하나 둘씩 배송지로 출발했다. 본지 취재팀은 조완재 택배연대노조 이천한진지회 사무국장의 차량에 동승했다.
조완재 사무국장의 배송지는 아파트 단지였다. 아파트는 그나마 수월한 편이라고 하는데도 그는 계속 뛰어 다녀야 했다.
배송에 동행한 지 1시간 반 만에 필자는 발바닥이 아프고 다리가 붓기 시작했다. 이동 중에 화장실 사용도 큰 불편이었다.

제대로 된 식사는 일을 모두 마치고 나서 밤 늦게 먹는 저녁 한끼다.
낮은 수수료
점심도 굶어 가며 쉬지 않고 배달을 완료한 시간이 오후 5시 30분이었다. 쉴 새 없이 다시 픽업 업무가 시작됐다. 배송에 픽업까지, 노동자들이 장시간 노동에 내몰리는 데엔
픽업 1차분을 수거해 다시 지점에 들렀다. 택배 상자들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작업장이 좁고 상하차 인력이 부족해 수거해 온 상자를 내릴 공간조차 없었다. 날씨는 점점 추워지는데 밖에서 40분을 기다려야 했다.
2차 픽업까지 하루 일을 마치고 나니 밤 9시 30분이었다. 말로만 듣던 하루 14~15시간 노동이었다. 게다가 정말 팍팍한 15시간이었다. 식사는커녕 10분도 제대로 쉬지 않고 일을 해야 이 시간에 끝날 수 있었다.
한진택배 노동자들은 분류 인력 투입과 수수료
정부와 택배 회사들의 생색내기 대책은 택배 노동자 과로사를 해결하지도 못할 것이고, 노동자들의 조건을 개선하기에도 턱없이 불충분하다. 실질적인 개선을 위해 택배 노동자들이 투쟁에 나서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