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난민, 8·21 2차 서울 도심 행진:
1차 행진보다 더 많이 참가하다
〈노동자 연대〉 구독

8월 21일 서울 보신각에서 이집트 난민들이 한국 정부에 난민 즉각 인정을 요구하는 긴급 집회를 열고 도심 행진을 벌였다. 이집트 난민들과 화성외국인보호소 방문 시민모임
집회를 주최한 이집트 난민들은 짧게는 4년, 길게는 6년째 법적 난민 지위를 인정받지 못해 고통을 겪고 있다.
난민 신청자라는 불안정한 체류자격 때문에 취업이 어렵고, 취업하더라도 열악한 일자리인 경우가 허다하다. 건강보험과 같은 필수적인 사회보장제도에서도 배제된다.
무엇보다 자칫 추방당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은 상당한 정신적 고통을 낳는다. 다른 한편, 이집트에 두고 온 가족이 있는 경우 수년째 생이별의 고통을 겪고 있다.
자녀들은 방과후 활동에 참여할 수 없는 등 학교 생활에서도 차별을 겪는다. 난민들은
이에 이집트 난민들은 7월 6일 난민 즉각 인정을 요구하며 법무부 앞 농성에 돌입했다. 그러나 법무부는 8월 10일 난민 즉각 인정을 거부하고 더 기다리라는 답변을 내놓았다. 이에 이집트 난민들은 농성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집회와 행진은 8월 10일 법무부의 답변에 항의하고, 농성을 지속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해 열렸다.
농성에 참가하고 있는 무함마드 씨는 농성 투쟁을 구심으로 연대가 조금씩 확산되는 것에 고무받는다고 말했다.
또 그는 수년째 난민 인정을 하지 않으면서 예산 핑계를 대는 한국 정부의 위선을 꼬집었다.
한국 정부는 올해 1월 이집트 엘시시 정부에 10억 달러 규모의 차관을 제공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또 2월에는 K9 자주포를 이집트에 수출해 2조 원 이상의 수익을 거뒀다며

무함마드 씨는 2013년 엘시시 정권이 시위대를 학살하는 장면을 동영상으로 보여 주며 발언을 이어갔다.
연대
이에 화답해 한국인들의 연대 발언이 이어졌다.
현대중공업 노동조합 대의원 권준모 씨는 현장에서 난민 연대 활동을 하며 느낀 바를 전했다.
화성외국인보호소 방문 시민모임

이날 집회에는 수도권에서뿐만 아니라 울산, 부산, 충청도, 강원도 등 전국 곳곳의 한국인들이 연대하기 위해 참가했다. 부산에서 온 정성휘 씨는 지역에서 벌인 난민 연대 활동을 소개했다.
노동자연대 청년학생그룹 회원 양선경 씨는 법무부가 8월 10일 내놓은 답변 내용을 반박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종로 일대와 광화문을 거쳐 국가인권위 앞으로 행진하며 거리의 시민들에게 지지와 연대를 호소했다. 많은 사람들이 난민들이 준비한 리플릿을 흔쾌히 받아갔다.
이집트 난민들의 난민 인정 투쟁에 지지와 연대를 보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