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 10월 15일 팔레스타인 연대 집회:
이스라엘 지상군 투입 앞두고 팔레스타인 연대가 확산되다
〈노동자 연대〉 구독

이스라엘의 지상군 투입이 임박한 가운데, 한국에서도 11일 긴급 집회에 이어 나흘 만인 오늘 오후 2시 이태원 거리에서
이번 집회는 재한 팔레스타인 청년과 한국인들이 함께 주최했다. 팔레스타인인과 이집트인 등 아랍인, 한국인뿐만 아니라 백인, 아시아인 등 다양한 국적과 인종의 남녀노소 500여 명이 참가했다.
유모차를 끌고 아기를 업고 참가한 아랍계 젊은 부부들, 팔레스타인 국기를 몸에 두르거나 쿠피예를 착용한 한국인들이 눈에 띄었다. 제주와 부산, 울산에서 올라온 참가자도 있었다.
현대중공업, 공무원, 교사, 공공기관, 우체국, 자동차, 병원, 서비스 등 다양한 부문의 노동자들도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한국어, 아랍어, 영어로 쓴 다양한 팻말과 배너, 가자지구의 처참한 상황을 담은 대형 사진 등을 준비해 왔다. 주최 측은 참가자들이 함께 외칠 구호를 한국어와 영어, 아랍어


집회는 사회자인 박혜신 노동자연대 청년학생그룹 활동가의 힘찬 구호 선창으로 시작됐다.
첫 발언은 본지 김종환 기자가 했다.
이어, 팔레스타인에서 온 학생인 타이아 카타메쉬 씨가 발언했다. 카타메쉬 씨는 이번 시위 발의자이기도 하다.

세 번째 발언자는 가자지구 출신인 팔레스타인인 살레흐 씨였다. 가자지구에 있는 살레흐 씨의 동생을 통화로 연결해 발언을 들어 볼 계획이었으나 폭격으로 통신이 끊겨서 전화가 연결되지 않았다.
팔레스타인계 요르단인 학생 무하마드 카리와티 씨가 네 번째 발언자로 나섰다.
마지막 발언은 서성원 한국외국어대 학생이 했다.

행진 선두에는 팔레스타인인 등 아랍인들이 섰다. 참가자들은 한 손에 팻말, 다른 한 손엔 주먹을 치켜 들고 자신들의 외침이 팔레스타인에 닿기를 바라며 열정적으로 구호를 외쳤다. 아랍계 어린이들이 목이 터져라 연신 구호를 외치는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거리의 시민들은 연신 휴대폰으로 행진 대열을 담았다. 무슬림 상인들은 손가락으로 브이를 그리며 응원하기도 했다. 트랜스젠더들이 나와 지지를 표하기도 했다.
이태원역을 지나 이슬람 서울중앙성원에 도착하자, 예배를 마친 이들이 나와 함께 구호를 외치며 합류했다. 다시 이태원역으로 향하는 행진은 오늘의 압권이었다. 그새 대열이 갑절로 불어나 있었다.


이태원역에 도착해 간략히 마무리 집회를 진행했다. 두 번째 발언자였던 타이마 카타메쉬 씨가 다시 마이크를 잡았다.
여운이 가시지 않은 참가자들은 곧바로 흩어지지 않고 연신 구호를 외쳤다. 마치 자신들이 외치는 구호 만큼 팔레스타인의 해방이 빨라질 수 있다는 간절한 염원인 듯했다.
팔레스타인인 등 아랍인들은 한국인들에게 다가와 감사를 표하며 시위를 계속 이어 나가자고 다짐했다.
살레흐 씨도 진심어린 고마움을 표했다.
제주에서 온 한 참가자는 이렇게 말했다.
부산에서 온 청년노동자 이승은 씨는 더 많은 연대 실천을 다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