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뿌리 깊은 신자유주의의 위기
〈노동자 연대〉 구독

한 주 사이에 신자유주의 질서의 위기가 급격히 심화됐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과격한 인종차별 언사를 동원하고, 민주당을 네 명의 진보 성향 하원의원
신자유주의의 핵심인 유럽연합의 차기 집행위원장
신자유주의 세계화를 옹호하는 사람은 여전히 있다. 〈파이낸셜 타임스〉 수석 논설위원 마틴 울프는 7월 16일에 소위
그러나 세계화의 위기는 뿌리가 그보다 훨씬 깊다. 이는 2007~2008년 금융 위기와 뒤이은 대불황에서 비롯한 것이다. 이 같은 경제적 격변이 몇 달 전 〈이코노미스트〉가
핵심 징후 중 하나는 국제 무역 성장세의 둔화다.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정점일 때 국제 무역은 전 세계 국민소득보다 두 배 빠르게 성장했다. 이는 세계적 공급 사슬, 더 학술적으로 표현하자면
울프의 동료이자 울프와 마찬가지로 〈파이낸셜 타임스〉에 소속된 기자 질리언 테트는 7월 18일에 금융 위기 이후 변화를 다룬 매우 흥미로운 기사를 썼다.
테트는 이렇게 썼다.
금융의 구실
테트는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특히 대
신현송은 이렇게 밝혔다.
신현송은 이렇게 주장했다.
이는 금융 체제, 특히 미국과 유럽의 은행들과 그림자 금융권이 투기 거품을 만들어 낼 뿐 아니라 생산과 무역을 투기 거품에 어떻게 빠뜨리는지를 보여 주는 흥미로운 통찰이다.
테트가 지적했듯,
테트는 이렇게 결론 내렸다.
다른 말로는, 세계경제와 금융이 위기에 빠진 2007~2008년 이래로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박살났다고 할 수 있겠다. 지난 몇 년간의 정치적 혼란의 근저에는 경제적 모순이 작용하는 것이다.
이는 트럼프와 그 복사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