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비정규직 파업:
인력 충원하고 임금 인상하라
〈노동자 연대〉 구독
철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11월 28~29일 파업을 한다.
철도노조 코레일네트웍스지부와 철도고객센터지부는 첫날 파업 출정식을 하고 서울 용산에 있는 코레일네트웍스 본사 앞으로 행진했다.
이 노동자들은 역무와 여객 매표, 고객 상담, KTX를 통한 특송 서비스, 주차관리 등의 업무를 맡고 있다. 정규직과 동일한 업무를 하거나 긴밀히 협업하며 공공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런데 노동자들은 물가와 금리 폭등으로 인한 생계비 위기 상황에서 저임금에 시달리고 있다. 인력도 부족해 불만이 크다. 노조는 인력 확충, 임금 인상, 구조조정안 철회 등을 요구하고 있다.


파업 집회에서 정명재 코레일네트웍스지부장은
윤석열 정부는 철도 비정규직 인력을 줄여야 한다고 했지만, 노동자들은 지금도 인력 부족에 허덕이고 있다.
가령, 1호선 구일역의 경우 인근에서 대규모 행사가 열릴 때마다 많은 인파가 몰린다. 그런데 역무원 수는 매우 부족하다. 과천 경마공원역도 매주 수만 명이 이용한다. 그런데 단 두 명이 안전을 책임지고 있다.
철도공사 측은 코로나 시기에 상담 업무가 줄었다면서, 지난 2년간 철도고객센터 상담사를 34명이나 줄였다. 그러다가 올해부터 다시 업무량이 증가했지만, 그만큼 인력을 늘리지도 않았다. 노동강도는 높아졌고, 이용자들은 상담 대기시간이 길어져 서비스가 악화됐다.
더구나 노동자들은 20년을 일해도 임금이 최저임금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정아 철도노조 고객센터지부장은 말했다.
노동자들은 이미 3년째 임금이 오르지 않았다. 인력 부족으로 시간 외 근무를 할 수밖에 없는데, 사측은 적반하장으로 그것 때문에 인건비 부담이 커져 임금 인상이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연장근무를 해도 인건비 총액을 늘려줄 수 없다는 기재부 지침을 핑계 삼으면서 말이다.
정부와 철도공사, 자회사 모두 서로 책임을 떠넘기며 노동자들을 쥐어짜는 데 한통속이다.
정부와 사용자들은 재정 적자를 들먹이며 이를 정당화한다. 그러나 철도는 누구나 보편적으로 싸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돼야 할 필수 공공서비스이다. 이곳에서 생긴 적자는 공공서비스를 위한
돈이 없는 것도 아니다. 윤석열 정부가 대기업
철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투쟁은 완전히 정당하다. 응원하고 지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