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 멈춤 행동’을 지지하자
—
9월 4일 이후에도 투쟁은 계속돼야
〈노동자 연대〉 구독
교사들의 교육권 보호를 요구하는 운동이 계속되고 있다. 수만 명의 교사들이 9월 4일
교육부는 연일 파면
심지어 교육부는 교사들이 사용한 연가

8월 29일 윤석열 정부가 발표한
정부가 발표한 내년 예산안을 보면, 교육부 예산은 95조 6254억 원으로 올해보다 6조 3000억 원이나 줄었고, 특히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지급되는 교육교부금이 9.1퍼센트
정부가 발표한
이처럼 정부가 예산
한편, 최교진 세종교육감과 조희연 서울교육감, 서거석 전북교육감 등 진보 교육감들은 공교육 멈춤 행동을 허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 교육청들도 징계를 위협하는 교육부의 협박성 공문을 각 학교로 내려보냈다.
이런 상황에서 교총은 공교육 멈춤 행동 대신 지역별로 저녁 추모제를 열자고 제안하며 정부 편을 들어 교사들의 화를 돋우고 있다. 일부 교사노조도 9월 4일 행동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혀 조합원을 비롯한 여러 교사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그럼에도 정부와 교육 당국을 압박하기 위해 더 큰 행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의 기세는 꺾이지 않고 있다. 정부의 징계 위협이 커지자 집회 운영팀 내에서 논쟁이 격화돼 8월 26~27일 사이에 운영팀이 해산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지만, 곧장 새로운 운영팀이 구성돼 집회를 강행하기로 했다.
이미 10만 명 가까운 교사가 9월 4일 행동에 동참할 의사를 밝혔을 뿐 아니라, 9월 2일에
8월 30일까지 집회 운영팀이 집계한 전세버스 대여 상황을 보면, 버스 500대에 1만 5000명 이상이 참가할 것이라고 한다. 지난 6차 집회 때 전세버스 92대에 참가 인원이 2800명이었던 것과 견주면 5배가 넘는 것이다.
이런 기세를 이어 나가 9월 4일
이 점에서, 전교조 같은 좌파적 노동조합이 9월 4일 행동에 공식적
일부 교사들은 학생
물론
9월 4일 행동 이후에도 정부에게 실효성 있는 대책을 받아 낼 때까지 투쟁이 이어져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