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트럼프 재집권에 따를 변화와 연속성
〈노동자 연대〉 구독
내년 1월 도널드 트럼프가 백악관으로 돌아올지도 모른다는 어두운 전망을 앞두고 세계 지배계급 속에서 패닉이 번지고 있다는 것을 누구나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바이든의 대선 완주 의지를 단념시키려는 민주당 지도자들의 노력이 성공을 거둔 배경이다.
그런데 트럼프의 백악관 재입성은 실제로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지난주 밀워키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트럼프의 부통령 후보인 J D 밴스가 시사한 바에 따르면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한다. 밴스는 오하이오주의 가난한 백인 가정 출신이지만 예일대 로스쿨을 나오고 우익 벤처 자본가 피터 시엘의 후원을 받은 덕에 상원의원으로 출세했다.
밴스는 바이든이 신자유주의적 무역 협정들과 2003년의
분개한 《타임》지는 트럼프가 밴스를 선택한 것이
미국의 초국적 기업들은 트럼프가 공약한 수입 관세 인상을 못마땅해한다. 그러나 그 기업들은 지난번에도 트럼프의 고율 관세를 그냥 받아들였다. 그리고 바이든은 미국의 산업 경쟁력을 재건하고 중국과 경제 전쟁을 벌이는 트럼프의 정책을 계승했다.
둘 사이의 큰 차이는 방법에 있다. 바이든은 제2차세계대전 이래 민주당과 공화당 어느 당이 집권하든 미국 정부들이 잇달아 추구해 온 정책으로 돌아갔다. 그것은 다른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을 미국 주도의 경제적
마르크스주의적 역사사회학자인 지오반니 아리기는 지도적 국가가 헤게모니를 유지하려면 동맹국들에 진정한 혜택을 제공해서 안토니오 그람시가 말한
유럽 국가들과 대만 등의 동맹국들이 자국의 국방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트럼프의 요구는 이러한 붕괴의 한 증상으로 볼 수 있다. 아리기의 두 협력자이자 사회학자인 베벌리 실버와 코리 페인은 이렇게 주장한다.
그러나 이런 트럼프 방식과 민주당의 차이를 과장해서는 안 된다. 나토 회원국들의 군비 지출을 늘리라는 요구는 트럼프의 전임자인 버락 오바마 때부터 시작됐다. 바이든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이용해 유럽 국가들을 미국의 지도력 아래 단결시켰다.
트럼프는
트럼프가 중국 정부와도 마피아식 협정을 맺을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트럼프는 이란은 일관되게 겨냥해 왔다. 또, 이스라엘에게는 가자지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