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선 경선:
초반 압승 이재명 공약의 평가
〈노동자 연대〉 구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첫 지역 투표에서 이재명 경기지사가 대전
이재명 지사는 54.72퍼센트,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는 28.19퍼센트를 얻었다
이낙연은 김대중계로 전남에서 국회의원을 한 뒤, 전남도지사를 지냈다. 주류 정치인으로 별 개성이 없는 인물인데, 문재인 정부에서 역대 최장수 국무총리를 하면서 친문 진영의 지지로 대선 후보의 자리까지 왔다.
문재인 정부에서 이낙연 후임 국무총리를 지낸 정세균도 친문 진영의 지지를 나눠 받고 있다. 전북 전주 출신이자 쌍용그룹 상무 출신인 정세균은 김대중계로 정계에 입문해 노무현 정부에서 산업자원부 장관을 지냈다.
이들은 이재명을 위험한 포퓰리스트 취급하며 사생활 네거티브로 일관해 왔다.
아마 반
그런데 1차에 싱겁게 끝날 가능성이 커졌다. 민주당 경선 첫 투표 결과는 친문 성향 당원 상당수가 이재명을 지지한다는 뜻이다. 대세를 보며 일부 친문 정치인들도 이재명에게 줄을 서기 시작했다.

개혁 염원
당선 가능성이 결정적 요인이다. 문재인 정부의 개혁 배신으로 실망과 환멸이 커 정권 교체 지지 여론이 과반을 이룬다. 이 상황에서 이재명은 몇 달째 윤석열과 양강 구도를 이루고 있다.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은 첫째, 이재명이 문재인 정부와 경쟁 후보들보다 더 개혁적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주류 담론은 오늘날 포퓰리즘을
주류가 포퓰리즘을 위험하게 여기는 것은 그것이 기득권
그러니 민주노동당
이낙연은 물론이고 정세균, 추미애 등은
윤석열마저
둘째로, 친문 주류에게 대놓고 갈굼을 당했던 점도 지금은 유리한 요인이다. 친문은 그동안 온갖 지엽말단적인 사생활을 트집 잡아 비난 공세를 벌여 왔다.
최근 변호사비 소송비 문제로 화제가 된 선거법 위반
그런 점에서 대중은 부차적인 것들과 중요한 정치적 판단의 쟁점들을 구분하고 있는 셈이다.
좌파적 포퓰리즘 전략
셋째 요인은 온건 좌파 정당들의 부진이다. 이들은 지난 4년 동안 촛불 연합
가령 장하성
정부
상황이 이렇게 되자 진작부터 노동운동
그럼에도 이재명은 그 오른쪽에 민주당의 지배계급적 기반을 갖고 집권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재명에 대한 환상을 경계해야 한다.
최근 민주노총 집행부와 한상균
한정된 조건에서 그에게 비판적으로 투표할 수는 있지만
그 점에서 좌파 정당들의 약점만이 아니라 민주노총 자신의 실천도 돌아봐야 한다.
민주노총 김명환 집행부는 문재인 임기의 대부분 동안 문재인 정부와의 사회적 대화에 기대를 걸었다. 민주노총 고위 지도부들은 이를 본질적으로 문제 삼지 않았다. 그러다가 무리수를 둔 김명환 집행부가 반발에 부딪혀 중도 사퇴했다.
문재인 4년차에, 투쟁을 강조한 양경수 민주노총 집행부가 들어섰다. 그런데 문재인 정부는 양경수 위원장을 최근 구속해 버렸다. 문재인은 김명환 전 위원장도 국회 앞 집회를 이유로 구속했었다. 임기 중에 민주노총 위원장을 두 명 구속한 정권은 문재인이 처음이다.
결국 이재명의 강세는 진보 개혁 염원이 문재인 정부가 야기한 환멸에도 불구하고 아직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것이 윤석열이 국민의힘에 입당하자 지지율 상승세가 멈추고 최근 국민의힘이 자중지란을 겪는 배경의 일부다.
개혁 염원이 더한층의 급진화로 발전하려면 정치적 대안도 필요하고, 더 큰 투쟁들도 많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