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갈수록 심해지는 기상이변:
기후 위기의 대안은 무엇인가?

이 글은 8월 31일 노동자 연대가 주최한 같은 제목의 온라인 토론회(영상 보기)에서 필자가 발표한 내용을 일부 수정한 것이다.

기후 위기가 심각해 이대로 가면 재앙이 닥칠 공산이 크다. 과학자들이 재앙을 막기 위해 줄여야 하는 온실가스 양을 제시했지만 각국 정부들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 노력은 그에 한참 못 미친다.

기후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한국에 비가 하루에 100mm 안팎으로 세게 내리는 횟수가 지난 100년 동안 늘었다. 지난 8월 4일 최장기 장마로 물에 잠긴 잠수교 ⓒ조승진

2018년에 UN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하단 사진, 이하 특별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대폭 줄이지 못하면 그 이후엔 아무리 노력해도 기후 재앙을 막기 어렵다고 해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을 줬다.

‘지금이 기후 위기를 막을 기회’라고 지난해 스웨덴 청소년 그레타 툰베리가 호소한 것에 전 세계 수백만 명이 호응해 거리로 나왔다. 일부 나라에선 노동자들의 파업도 벌어졌다. 이런 아래로부터의 압력에 힘입어 기후 위기와 그로 인한 재난은 다시 한 번 사회적 화두가 됐다.

본 기사는 특별보고서의 제안을 다섯 가지 항목(에너지, 운수, 공장, 빌딩, 속도)으로 나눠서 살핀다. 각 제안에 부응하는 변화를 이룰 방안은 뒤이은 기사들에서 소개하고 있다.

물론 IPCC는 화석연료 기업들의 로비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한계가 많다. 탄소포집저장(CSS) 기술처럼 사실상 제대로 검증이 안 된 기술, 핵발전과 바이오연료처럼 온실가스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도 못하면서 끔찍한 부작용만 낳는 기술들이 버젓이 대안에 포함돼 있기도 하다. 그런 만큼 이 보고서의 제안보다 온실가스를 더 많이, 더 빠르게 줄여야 할 것이다.

IPCC 특별보고서의 제안

첫째, 2050년까지 풍력·태양 발전을 대대적으로 늘리고, 석탄·천연가스 발전을 퇴출시키고, 당분간 전기 사용량을 줄여야 한다.

특별보고서는 89가지 가상 실험을 통해 현재(2020년) 대비 2050년까지 늘려야 하는 풍력과 태양 발전의 규모를 가늠했다. 중위값은 28배였지만 일부 가상 실험에서는 170배나 늘려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가상 실험들에서 앞서 말한 미심쩍은 기술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실제 필요한 풍력과 태양 발전량은 중위값보다는 최대값에 더 가까울 것이다.

반면 석탄과 천연가스를 태우는 화력 발전은 온실가스를 대량 배출한다. 특별보고서는 석탄은 물론이고 천연가스 사용도 줄여야 한다고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2050년까지 석탄은 (중위값 기준으로) 1퍼센트 미만, 천연가스를 지금의 4분의 1 정도로 줄여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독일, 미국 등이 석탄 발전소를 폐쇄하면서 천연가스 사용량을 늘리는 것은 진정한 대안이 되지 못한다.

한편, 특별보고서는 단기적으로는 전기 수요를 줄여야 한다고 봤다. 풍력·태양 발전이 느는 속도보다 화석연료 발전소를 더 빨리 줄여야 하는 것이다. 2030년에는 전기 사용량을 현재보다 15퍼센트 줄여야 하지만, 풍력·태양 발전이 착실하게 보급된다는 전제 하에 2050년에는 현재 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둘째, 운수 부문에서 온실가스를 80퍼센트 줄여야 한다.

화물차 등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상당하지만 이것은 마땅한 대체재가 없다. 그래서 특별보고서는 “별다른 묘책이 없는 만큼 필요한 모든 조처를 강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풍력과 태양 발전으로 석탄과 천연가스는 대체할 수 있어도 석유는 대체하기 어려운 것이다.

세간에는 전기차가 미래의 자동차인 양 각광받고 있지만 전기차는 기본 탑재되는 배터리가 이미 어지간한 화물만큼 무거워서 추가로 화물을 싣기 어렵다. 그래서 특별보고서는 운수 부문 배출을 줄이는 여러 가지 방안 중 전기차의 기여가 가장 적다고 봤다. 전기차 개발과 시장 확대에 야단법석을 떠는 언론이 실제 온실가스 감축 문제에는 얼마나 무지하고 관심이 없는지 알 수 있다.

셋째, 공장 가동에서 나오는 배출을 80퍼센트 줄여야 한다.

기본적으로 공장은 사회 어느 부분보다도 전기를 많이 소비한다. 더욱이 작업 공정에서 나오는 온실가스도 상당하다. 특별보고서는 제철, 비철 금속, 화학, 비금속 광물(시멘트·유리 등), 펄프제지 같은 소재 산업들에서 온실가스가 특히 많이 나온다고 지적한다.

그래서 특별보고서는 2050년까지 공장 온실가스 배출의 80퍼센트를 없애야 한다며 공장의 전반적인 전기 효율을 높일 뿐 아니라 소재 사용량 자체를 줄여야 한다고 주문한다.

넷째, 단열이 잘 되는 빌딩을 지어야 한다.

공장이 아닌 건물, 공공기관, 가정집 등이 빌딩에 속하고, 이 부문에서는 냉난방 에너지를 줄이는 게 핵심이라고 지목한다. 에어컨과 보일러를 최신 기종으로 바꾸는 것도 필요하지만 빌딩의 단열이 가장 중요하다. 설계부터 냉난방과 단열을 염두에 두고 건물을 지으면 가장 좋을 것이다.

특별보고서는 개발도상국들에 이런 신식 공법의 건물을 지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건물은 한 번 지으면 수십 년 유지되는데 오늘날 개발도상국에서 새 건물들이 많이 지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2030년 전까지 결정적 변화를 일으켜야 한다.

특별보고서는 기후 위기가 재앙으로 발전하기 전까지 우리가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를 약 500기가톤가량이라고 추산했다. 해마다 42기가톤씩 배출하고 있는 만큼 이대로 가면 12년 안에 고갈된다. 그래서 2030년 전까지 온실가스를 얼마나 빠르게 줄이냐가 결정적이라고 지적한다.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