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출범:
윤석열 정부의 기만적인 기후 ‘대책’
〈노동자 연대〉 구독
10월 26일 윤석열 정부가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탄중위는 2020년 문재인 정부가 처음 만들었는데,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제시하고 그 이행을 점검하도록 한 기구다. 지난해에
그런데 탄중위가 출범과 함께 발표한
국제적으로 각국 정부가 원전을 확대하고 석탄 발전 활용을 늘리고 있는 상황을 정당화 근거로 댔다.
불쾌하게도 이런 지적은 냉엄한 현실이기는 하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영국과 프랑스는 핵발전소 추가 건설 계획을 내놓았고, 독일과 프랑스는 석탄 발전을 재가동하거나 가동 제한 조처를 한시적으로 완화했다. 미국 바이든 정부도 핵발전소 수명 연장을 위해 재정을 지원하고 산유국들에 증산을 요구하는 등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이 더욱 커지고 있다.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도 코로나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이런 현실은 주요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약속이 얼마나 얄팍한 것이었는지 잘 보여 준다. 지난여름 유럽의 폭염과 파키스탄 대홍수 등이 기후 위기의 위험을 보여 줬지만, 이들은 하나같이 당장의 기업 이윤과 국가 경쟁력을 더 우선시한다.
이들이 지난 30년 동안 제시해 온 해법들도 자본주의 원리, 즉 기업 이윤에 도움이 되는 한에서만 작동할 수 있는 것이었다. 엄청나게 많은 재생에너지 설비가 건설됐고, 자동차 기업들이 전기차 생산에 뛰어들어도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들지 않는 이유다. 화석연료에 기반을 둔 기존 산업의 이윤을 포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윤석열은
또 그동안 강조해 왔듯이 핵발전 확대 정책을 밀어붙이고, 배터리
동시에 국민적 참여와 실천이 중요하다며 에너지 요금 인상을 통해
김 빼기
2019년 세계 곳곳에서 분출한 기후 운동은 주요 선진국 정부들로 하여금 말로나마
그러나 이런 약속은 전혀 지켜지지 않았다. 오히려 선진국들은 온실가스 배출 규제를 무역장벽으로 활용하려는 시도를 노골적으로 펴기 시작했다. 유럽의 탄소국경세가 대표적이다. 특히 2020년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미국과 유럽 등은 중국에 대한 무역장벽으로 온실가스 규제를 활용하려 했다.
당시 문재인 정부도 기후 운동의 요구를 수용하는 형식을 취하는 한편, 무역장벽의 유탄을 피하기 위해 탄소중립위원회를 설치하고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상향하는 등 명분을 쌓아 갔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감축 기간과 감축량 모두에서 기후 위기를 멈추기 위해 필요한 수준에 한참 못 미칠 뿐 아니라, 기만적인 약속들
이번에 윤석열 정부가 사실상
게다가 민주당은 문재인 정부가 사실상 말로만 고수하던

9.24 기후정의행진은 국내에서 대중적 기후 운동이 성장할 가능성을 보여 줬다. 좌파는 이 운동이 윤석열 정부의 엉터리 기후 정책에 도전하는 강력한 운동으로 발전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려면 기후 위기 대응과 평범한 노동계급의 이익을 결합시킬 수 있는 구체적 대안들을 제시해야 한다. 석탄발전소와 자동차 산업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