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위중증 피해환자 보호자 모임’ 기자회견:
치료비 수천만 원, 정부가 전액 지원하라
〈노동자 연대〉 구독

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20만 명이 넘는 가운데,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도 증가하고 있다. 3월 7일 위중증 환자는 955명, 하루 사망자는 139명
3월 7일 오전 10시 청와대 앞에서
여는 발언으로 조수진 씨가 나섰다. 조수진 씨의 할머니는 지난해 11월 코로나19에 걸린 이후 40일간 중환자실 입원을 거쳐 지금도 병원 생활을 하고 있다. 그녀는 할머니가 숨이 차고 호흡이 어려운 상황에서 입원 가능한 병원을 찾느라 갖은 애를 써야 했다. 병원에 있는 동안에는 격리 해제 기간이 지났으니 나가라는 압력을 받았다. 그런 속에서 치료를 계속 받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그 사이 날아든 치료비 청구서를 보면서 경악할 수밖에 없었다.

코로나19로 두 달 넘게 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어머니를 둔 민지 씨도 상황의 심각성을 알렸다.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최규진 인권위원장은 사태를 방치하고 있는 정부의 문제를 짚었다.
무상의료운동본부 소속 행동하는간호사회 운영위원이자 현직 간호사인 김민정 씨도 정부의 안일한 대응을 규탄했다.
기자회견을 취재하러 많은 방송국과 언론사가 왔다. 이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다는 것을 보여 준다.
여론을 의식한 듯 정부는 이날 오후 신속하게
그러나 앞선 사례들에서 암 치료비를 요구한 보호자는 없다. 정부는 환자와 보호자가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처럼 왜곡하려고 있지도 않은 사례를 든 것이다.
게다가 코로나19와
이날 기자회견에서 나온 목소리는 정부가 코로나19 대처를 개별 가정에 떠넘긴 상황에서 평범한 노동자
기자회견 참가자들의 요구처럼 정부는 코로나19 치료비를 전액 지원해야 한다.
이들은 대선 후보들에게도 이 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