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정상회담:
북핵 ‘위협’ 빌미로 미국의 핵우산 확대하기
〈노동자 연대〉 구독
11월 13일 대통령 윤석열은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한미일 정상회담에 참석했다. 이 회담에서 세 정상들은 경제, 안보, 기술 등 다방면에서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공동성명에서 한미일 세 정상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대만 문제, 공급망 등의 경제 안보 등은 모두 미

또 이 회담에서 윤석열 정부는
PBP는 미국이 태평양 도서 국가들과 중국의 관계 강화를 견제하려고 만든 협력체다.
물론 정상회담 후 윤석열 정부는
그렇지만 이번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윤석열은 미국의 대중국 견제에 더 협력하기로 선택했다. 그게 한국 자본주의의 이해관계에 더 낫다고 보는 것이다. 이렇게 미
확장억제
이번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세 정상은 북핵
미국과 일본은 북한 미사일 발사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자고 한국에 계속 요구해 왔다.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이번 합의는 한일 지소미아 수준의 미사일 방어 협력을 뛰어넘자는 의미다. 한미일 군당국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돼 미사일 발사 탐지와 위치 확인 등을 유기적으로 하자는 것이다.
당장 동해에서 벌어졌던 한미일 연합 훈련이 더 자주 진행될 공산이 커졌다. 성주에 배치된 사드의 효용성도 더 높아질 것이다.
북한의
미국 대통령 바이든은 정상회담에서 북핵에 맞서 한국과 일본에 대한 확장억제가 강화될 것이라고 했다. 확장억제는 핵우산을 확대한 개념으로,
이와 관련해 앞서 한미 군 당국은 한미안보협의회의
미국의 전략자산에는 대륙간탄도미사일, 전략폭격기, 전략핵잠수함 같은 핵무기는 물론이고, 핵추진항공모함 등 핵공격에 맞먹는 무기도 포함된다.
따라서 확장억제 강화는, 이런 가공할 무기가 앞으로 한반도와 그 주변에 더 자주 출몰할 것임을 의미한다.
윤석열 정부는 북핵
그러나 미국의 전략 무기가 전진 배치되는 게 과연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무슨 도움이 될까? 이는 북한을 자극해 핵과 미사일에 더 집착하게 만들고 한반도 정세를 악화시킬 뿐이다. 11월 17일 북한 외무상 최선희는 담화를 내어 이렇게 밝혔다.
중국도 자극받기는 마찬가지다. 중국의 코앞에 미국 전략무기가 빈번하게 오가는 것이니 말이다.
11월 11일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제이크 설리번은
이미 이런 움직임은 진행 중이다. 10월 31일 호주 방송사 ABC는 호주 북부 다윈에 미군의 B-52 폭격기 6대를 운용할 대규모 군사시설이 건설된다고 보도했다. B-52는 핵무기 탑재가 가능한 전략폭격기다. 전략폭격기의 호주 배치는 다분히 중국을 겨냥한 행보다.
앞서 지난달에 공개된 새 국가안보전략 보고서에서 바이든 정부는 중국의 핵무력 강화를 경계하며 두 개의 핵무장 강대국
바이든이 한국과 일본에 확장억제를 강화하겠다는 것은 이런 맥락 속에서 봐야 한다. 윤석열의 한미일 안보 협력 강화는 한반도를 강대국들의 핵무력 경쟁 위험 속으로 끌고 들어가는 위험한 선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