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는 그 알량한 일도 하지 않았다
〈노동자 연대〉 구독
이 기사를 읽기 전에 “서방 정부들의 팔레스타인 국가 지위 인정, 어떻게 볼 것인가”를 읽으시오.

이재명 정부의 대표단도 네타냐후 연설 내내 자리를 지켜 줬다. 그 정도가 아니다. 이재명 정부는 팔레스타인 국가 지위를 인정하지 않는 유일한(미국을 제외하고) 이사국이다.
“자신들만의 국가를 세우려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열망을 깊이 이해한다”는 조현 외교부 장관의 수사가 공허할 뿐 아니라 위선적인 이유다.
게다가 이재명 정부는 경제·안보 영역에서 이스라엘과 협력 강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산업통상지원부는 이스라엘과 올해만 7개의 신규 R&D 협력을 개설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국가 지위를 인정하지 않는 이유로 “진정으로 도움이 될 시점에 팔레스타인 국가 지위를 인정하겠다”는 것을 들었다.
“한국 정부가 안보리 의장국으로서 책임을 다해”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해 주리라 기대하고 청원한 온건 시민단체들에게는 유감이었겠지만, 이재명 정부는 트럼프 정부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는 것을 인종 학살당하는 팔레스타인인들보다 우선시하는 것이다.
앞 기사에서 읽었듯이, 이번에 서방 지도자들의 인정 선언은 순전한 제스처에 불과하다. 더구나 그들의 선언에는 팔레스타인인들의 저항을 단속하는 독소 조항들이 포함돼 있다.
그조차 대중의 광범한 저항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서방 지도자들이 그 압력에 굴복했다는 것은 글로벌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이 중요함을 입증하는 증거다.
그러나 팔레스타인 연대 활동가들이 여전히 견지해야 할 교훈은, 공식 정치권에 대한 청원과 로비가 아니라 거리와 일터에서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을 끈기 있게 건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런 운동의 성장은 이스라엘을 더한층 고립시키고 미국이 수호하려 애쓰는 제국주의 질서에 균열을 내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관련 기사
서방 정부들의 팔레스타인 국가 지위 인정, 어떻게 볼 것인가

“팔레스타인을 파괴한 후에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하는 서방 지도자들

성황리에 열린 팔레스타인 연대 포럼
—
‘팔레스타인인들과 연대하는 사람들’ 주최

이스라엘의 가자시티 점령 계획 ─ 이스라엘과 서방의 정당성 위기 심화시킬 것

서방 지도자들의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약속은 사기다
—
두 국가 방안은 현상 유지일 뿐

이렇게 생각한다
팔레스타인 해방은 대중의 힘으로만 쟁취할 수 있다
—
‘국제 사회’에 기대선 안 된다

제보 / 질문 / 의견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앱과 알림 설치
매일 아침 7시 30분에 보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