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윤석열 퇴진 운동 팔레스타인 투쟁과 중동 트럼프 2기 이주민·난민 우크라이나 전쟁

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세계경제 구조의 변화를 드러낸 코로나19

중국에서 애플사 제품을 조립하는 대만 기업 폭스콘 중국과 미국, 세계경제의 긴밀함을 보여 준다 ⓒ출처 Nadkachna

“코로나19”로 알려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얼마나 심각한 것으로 드러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이미 사망자 수는 2002~2003년 사스(이 역시 다른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이었다) 발병 당시 사망자 수를 훌쩍 넘어, 2월 17일 현재 약 1775명에 이르렀다. 감염자는 2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코로나19가 마치 엑스레이처럼 세계경제의 구조 변화를 훤히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다. 사스 역시 중국에서 발발했지만, 현재 중국 경제는 그때보다 규모가 네 배나 크다.

코로나19는 세계 2위 경제 대국을 마비시켰다. 중국 정부는 연장된 춘절 연휴가 끝나는 2월 10일부터는 일터로 돌아가라고 사람들에게 발표했다. 그러나 2월 12일 중국의 여객 수송량은 지난해 같은 날에 비해 85퍼센트 줄었다.

중국 주재 유럽연합상공회의소 소장은 2020년 1사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이 2퍼센트로 떨어질 것이라 추산했다. 지난해 1사분기 성장률 6.4퍼센트의 3분의 1 수준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수출국이자 세계 최대 원자재 수입국이다. 그러므로 중국 경제가 둔화하면 전 세계 재화·서비스 수요와 공급이 큰 타격을 입을 것이다.

중국 업체들은 구리·천연가스 등 다양한 상품에 대한 주문을 줄이고 있다. 한편 중국은 이동 통제 때문에 굶어 죽은 가축들을 대신할 살아 있는 닭을 미국에서 수입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가장 심각한 타격은 공급 측에서 벌어질 공산이 크다. 중국이 세계 최대 제조업 경제로 부상한 것은 세계적 생산 체계 재편에 따른 것이었다. 선진국의 다국적기업들은 세계적 생산망을 발전시키면서 노동집약적인 조립 라인을 특히 동아시아·동남아시아로 외주화했다.

그 전형적 사례가 대만 기업 폭스콘이다. 폭스콘은 100만 명이 넘는 노동자를 고용해 중국에서 애플사(社) 제품을 조립한다.

중국 정부는 경제를 기술적으로 업그레이드해 (선진국 다국적기업들의 모국에 남아있는) 연구·개발 같은 고부가가치 활동이 중국에서도 이뤄지게 하려 한다.

현재 중국은 세계적으로 수출되는 전기·전자 부품의 30퍼센트를 생산한다. 미국은 물론 아시아 경제 대국들도 중국이 수출하는 기계나 운송장비에 크게 의존한다.

〈파이낸셜 타임스〉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진원지인 우한은 “중국에서 급속히 성장하는 자동차 부품·부대용품 수출 산업의 중심지로 떠오른 곳이다. 지난 10년 [내연기관] 엔진과 [전기차용] 모터 수출 산업이 네 배로 커지는 동안 이 부문도 세 배로 커졌다.”

제조업은 이미 전 세계에서 부진한 상태다. 알리안츠연구소의 한 경제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코로나19 때문에 세계 제조업 부문이 2020년 상반기 내내 불황일 공산이 크다. 전자·컴퓨터 부문이 가장 위험하다.”

그러나 자동차 산업도 세계적 공급 사슬에 기대어 있기 때문에 취약하긴 마찬가지다. 한 〈파이낸셜 타임스〉 칼럼니스트가 지적했듯이 거대 자동차 회사들은 이미 곤경에 처해 있었다. “폭스바겐 배기가스 배출량 조작 사건, 내연기관의 불확실한 앞날과 전기차의 부상, 브렉시트 무역장벽, … 여기에 미국발 무역전쟁까지. 이 모두가 유럽과 미국의 산업 불황에 일조했다.”

코로나19 때문에 실제로 미·중 무역전쟁에서 새로운 전선이 생길 수도 있다. 트럼프의 무역 보좌관 피터 나바로는 미국의 의약품 공급 사슬이 완성 의약품, 약재, (현재 수요가 폭등한 마스크 같은) 의료용품을 중국에 너무 의존한다고 지적했다. 2월 12일 나바로는 이렇게 말했다. “이는 오랫동안 수면 아래 있었지만 미국 경제와 안보의 치명적인 문제에 경각심을 일깨우는 경종이다.”

그런 점에서 코로나19는 전 지구적 전염병 확산에 취약해진 인류의 물리적 처지나, 세계적 공급 사슬에 의존하는 경제 같은 세계화의 영향을 드러내는 데에 그치지 않았다. 코로나19는 이른바 “탈세계화”, 즉 선진국 경제가 생산을 자국으로 되돌리려 하는 흐름을 더한층 가속화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이번 코로나19 사태는 현대 자본주의의 병세를 더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메일 구독, 앱과 알림 설치
‘아침에 읽는 〈노동자 연대〉’
매일 아침 7시 30분에 보내 드립니다.
앱과 알림을 설치하면 기사를
빠짐없이 받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