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대에서 팔레스타인 연대 연좌 농성을 하다
〈노동자 연대〉 구독
5월 13일 서울시립대학교 학생들이 캠퍼스에 팔레스타인 연대 텐트를 차리고 하루 연좌 농성을 했다.
캠퍼스를 오가는 여러 내외국인 학생들이 자신의 학교에도 팔레스타인 연대 텐트가 차려진 것을 보고 반가워했다.
다른 대학 학생들의 연대 방문도 있었다. 숙명여대, 연세대, 한국외대 등 여러 대학 학생들이 소식을 듣고 찾아와 함께 리플릿을 반포하고 연좌 시위에 동참했다.

텐트 풍경은 국제적 팔레스타인 연대 물결의 축소판을 보여 주는 듯했다. 한국인 학생들뿐 아니라 팔레스타인인, 독일인, 튀니지계 프랑스인, 모로코인 학생들이 함께 어울렸다.
연좌 농성 참가자들은 더 많은 학생들이 팔레스타인에 대해 알기를 바라며 팔레스타인의 역사를 다룬 책과 팔레스타인 문학 작품 등 10여 권의 책을 텐트 앞에 전시했다.

텐트는 많은 관심을 받았다.
학생들은 지지 메시지를 남기고, 스티커 등 연대 물품을 받아 가고, 전시된 책들을 살펴봤다.
부스로 다가와
점심시간에는 짧은 집회가 열렸다.
프랑스 시앙스포대학교에서 온 유학생 루와 그의 친구 뷔가 가장 먼저 메가폰을 잡았다. 시앙스포대학교는 현재 팔레스타인 연대 점거 시위가 벌어지고 있는 대학이다.
이어서 크리스티아노 사비유 서울시립대 연구교수가 이스라엘의 인종 학살을 강력히 규탄했다.
서울시립대에 재학 중인 팔레스타인인 유학생 나리만 씨가 마지막 발언자로 나섰다.

집회를 마친 학생들은 캠퍼스 행진을 했다.
한국인 학생과 팔레스타인인 유학생이 구호를 선창하며 행진을 이끌었다.
학생들은 캠퍼스 이곳저곳을 다니면서 이스라엘의 라파흐 지상전을 규탄하고 전 세계로 확대되고 있는 팔레스타인 연대 캠퍼스 점거에 연대하고 있음을 알렸다.
유학생 나리만 씨는 본인이 팔레스타인인임을 밝히며 이 행동에 함께할 것을 호소했다.
휴대폰을 꺼내 행진 대열을 촬영하거나 팻말을 받아 들고 함께 구호를 외치는 학생들이 여럿 있었다.
히잡을 쓴 학생이 행진 대열을 찍으며 함께 구호를 외치기도 했고, 행진을 보고 반갑게 웃고 손가락 브이 표시를 하면서 응원을 보낸 유학생들도 있었다.

행진을 하고 돌아온 학생들은 텐트 앞에 앉아 팔레스타인 노래들을 들으며 함께 점심을 먹었다.
학교 당국이 찾아와 집회 신고를 내고 해야 한다는 둥 연좌 시위를 방해하려 했지만, 학생들은 가자지구에서 벌어지는 인종 학살에 반대하는 학생들의 활동을 방해하지 말라며 당차게 항의해 쫓아냈다.
연좌 농성 내내 다양한 사람들이 텐트를 방문했다.
미국에서 대학을 다녔다는 한 학생은 한국에서도 팔레스타인 연대 활동을 하는 학생들을 만나게 돼 반갑다며 응원했다.

한 유학생은
지나가다 텐트를 발견하고
팔레스타인에 대해 아직 잘 몰라서 배우고 싶다며 텐트에 와서 팔레스타인인 유학생과 대화를 나누다 간 연구원도 있었다.
예상치 못한 반가운 손님도 찾아왔다. 여행 중인 팔레스타인인이 SNS에서 소식을 접하고 한국에 온 첫날 시립대 텐트에 찾아와 연좌 농성에 함께한 것이다.
연좌 농성 소식을 듣고 학생들의 선후배들이 와서 텐트 설치를 돕거나 다과를 사 들고 왔다.
지역 주민들이 음료를 사 들고 오기도 했다.
연좌 농성이 진행된 8시간 내내 대화 소리와 활기가 끊이지 않았다.
연좌 농성을 한 서울시립대 학생들은 팔레스타인 연대 행동을 계속 이어 가기 위한 계획을 논의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