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연금 개악 제안한 이재명 민주당 대표
〈노동자 연대〉 구독
1월 31일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또다시 국민연금 개악을 촉구했다. 이 대표는
이미 21대 국회 막판인 지난해 5월에도 여야는 국민연금 개악안에 사실상 합의한 바 있다. 당시 이재명 대표는
그때 합의된 안은 보험료를 소득의 9퍼센트에서 13퍼센트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40퍼센트에서 44퍼센트로 조정하는 안이었다. 노동자들의 보험료 부담이 44퍼센트나 오르는 반면, 소득대체율은 10퍼센트만 올리는 개악인 것이다.

예를 들어, 월급이 300만 원
그러나 윤석열은 이런 합의안의 국회 처리조차 막아섰다. 모수 개혁뿐 아니라 구조 개혁
이번에도 국민의힘 원내대표 권성동은
물론 대다수 부자들은
이에 따라 2월 중에 연금 개악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민주당 소속인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은
지난해 민주당이 정부
민주당이 지금 연금 개악에 박차를 가하는 것은 지배계급에게 수권 정당으로서 면모를 보이고, 대선에서
기업주 등 부자들이 앞으로 국민연금 지급을 보조해야 하는 정부 재정 적자가 늘어나는 부담, 그리고 그 적자를 메울 때 늘어날 자기네의 세금 부담 증가를 걱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노동자들의 노후 생활 보장을 강화하기는커녕 기업주 등 부유층의 부담 증가만 걱정하는 행태는 다시 민주당 정부가 들어서더라도 또다시 개혁 염원자들의 실망만 자아낼 것임을 보여 주고 있다.
연금 기금 고갈은 진정한 문제가 아니다
우파들은 지금 국민연금 적자가
그러나 연금 기금이 바닥난다고 해서 연금 지급이 중단돼야 하는 것은 아니다. 서구 여러 나라들은 이미 기금이 없어도 노령연금을 지급하고 있고, 한국의 건강보험도 기금 없이 운영 중이다.
노동계급에게 진정한 문제는 연금 기금 고갈이 아니라 연금이 최소한의 노후 생활조차 보장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우파들은 2056년에 국민연금 기금이 소진된다고 호들갑을 떨지만, 그해 한국의 전체 연금 지출은 국내총생산
부유층과 기업주들에게서 더 많은 세금과 보험료를 거둬 연금만으로도 노후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연금을 지급해야 한다.
보험료 인상에 동의해 준 진보 단체들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
올해 1월 22일 이 단체들은 지난해 4월 국회 연금특위 공론화위원회에서 채택된 다수안을 통과시키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국회 연금특위 다수안도 진정한 개혁안이 아니었다. 노동자들의 보험료 부담은 44퍼센트
이 단체들도 노동자들이 보험료 인상으로 고통을
이렇게 연금 기금 안정성을 중시하며 노동자 고통
게다가 경제가 지지부진해 자본가들이 좀체 양보하지 않으려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기업주 등 부유층의 세금과 보험료 부담을 높이라고 요구하며 대규모로 싸워야 진정으로 노후 생활 보장을 위한 연금 개혁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