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인상에 공공요금 인상까지!:
전기·가스 요금 인상 중단하라
〈노동자 연대〉 구독
올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동월 대비 4퍼센트를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1년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노동자
그런데 정부는 4월부터 전기와 가스 요금도 인상해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전기료는 킬로와트시

가스요금은 평균 1.8퍼센트 올랐는데, 주택용이 3퍼센트 인상돼 영업용보다 더 많이 올랐다. 가스비는 올해 4, 5, 7, 10월에 올려 전년 대비 16퍼센트 인상할 계획이다. 가스를 덜 쓰는 하절기에 집중적으로 인상하는 꼼수다.
윤석열은 4월 전기 요금 인상
주류 언론은 전기 요금을 너무 적게 올렸다며 불만이다. 이들은 유가 상승폭을 온전히 반영하려면 킬로와트시 당 33.8원을 올려야 한다고 하는데, 이 말대로 하면 전기 요금이 30퍼센트 넘게 오른다.
우파 언론들은 한전의 적자가 커진다며 요금을 더욱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올해 세계적인 에너지 공급난과 우크라이나 전쟁 속에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치솟아서 한전이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착한 적자
우파 언론만이 아니라 〈경향신문〉도 사설에서 전기 요금 인상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경향신문〉은 유가 인상 때문에 한전의 적자가 우려된다는 점과 함께, 낮은 전기 요금으로 인해 전기 사용이 부추겨지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근래 들어 기후 위기 해결을 바라는 사람들 내에서도 전기 소비를 줄이려면 전기 요금을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을 심심치 않게 접할 수 있다.
안타깝게도 이번 전기 요금 인상을 앞두고 정의당의 강은미 의원은 한전의
그러나 윤석열이 재정 건전성을 강조하며 긴축 공격을 준비하는 상황에서 좌파가 공기업의 재정 건전성 논리를 받아들이는 것은 위험하다.
정부가 노동자
지난 10년간 한전이 무려 31조 5000억 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한전이 서민을 상대로 돈벌이 하려는 것이 아니라면 이전에 번 영업이익으로 지금 같을 때 서민들을 위해 써야 한다.
정부는 2015~2020년에 국내 50대 기업에게 무려 10조 원에 달하는 전기 요금 할인 혜택을 줬다.
한전과 기업들의 흑자를 위해 수천만 명이 불편과 고통을 겪어야 하는가? 왜 그래야 하는가?
소비
한국의 가정용 전기 소비량은 전체의 14퍼센트에 불과하다. 전기의 대부분은 기업들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1인당 사용량으로 따져도 웬만한 선진국의 3분의 1밖에 안 된다.
그런데도 많은 노동자
요금이 오르기 전에도 이런 일이 흔했는데, 가정용 전기 요금을 대폭 올리면 이미 적은 전기 사용량의 감소 효과보다는 노동자
가난한 사람일수록 그 부담은 커진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전기 요금을 체납한 가구는 80만 가구로 늘었다. 매해 15만 가구가 요금을 내지 못해 단전을 경험하고 있다.
탄소 배출로 큰 이익을 거둬 온 것은 기업들이다. 게다가 최근의 에너지 공급 부족 문제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가속화시킨 것이기도 하다.
그런데 그 재앙들에 아무 책임이 없는 노동자
반대로 전기
문재인 정부가 ‘탈핵’ 노선이었다는 사기극
윤석열은 당선 이후 핵발전을 확대하려는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윤석열은 건설이 중단돼 있는 신한울 3, 4호기의 착공을 서두르겠다고 밝혔다.
윤석열 캠프에서 원자력
이와 같은 핵발전 확대를 위해 윤석열은 전기 요금 인상이 문재인 정부의
그러나 이런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오히려 문재인 정부 들어 2018년부터 핵발전은 증가해 왔다. 전체 발전량 중 핵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23퍼센트에서, 2019년 25퍼센트, 2020년 28퍼센트로 늘어났다.
고리 1호기, 월성 1호기는 폐쇄됐지만, 그보다 용량이 큰 신고리 3, 4호기가 가동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탈핵 포기는 문재인 정부의 대표적인 개혁 배신 정책 중 하나이다. 문재인 정부는 핵발전 수출에도 공을 들였다.
최근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핵발전소 인근에서 교전이 벌어지는 등 핵발전소의 위험성이 다시금 부각됐다. 안전한 핵발전은 없다. 또 발전과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상당한 에너지가 소모되고 탄소를 배출해 환경을 파괴한다. 위험천만한 윤석열의 핵발전 확대 정책에 맞서 저항이 커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