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감산 선언과 더욱 악화되는 한국 경제
〈노동자 연대〉 구독
최근 삼성전자가 25년 만에 메모리 반도체 감산을 발표했다.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실적은 매출 63조 원, 영업이익 60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19퍼센트, 96퍼센트나 줄었다. 삼성전자의 분기 영업이익이 1조 원을 못 넘은 건 14년 만의 일이다.
특히 반도체 부문의 손실이 컸다. 삼성전자의 1분기 반도체 부문 적자가 4조 원 이상인데, 올 한 해 전체도 적자일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한국개발연구원 KDI는 최근 반도체 경기가 2001년 IT 거품 붕괴,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때와 유사한 정도로 악화됐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는 3개월 전에만 해도
반도체 경기 악화로 한국의 수출도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올해 2월 경상수지는 5억 2000만 달러 적자다. 1월에 42억 1000만 달러 적자로 사상 최악을 기록한 것에 이어 두 달 연속 적자다.
경상수지 적자는 반도체 수출이 급감한 탓이 크다. 1~2월 반도체 수출은 124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2억 달러

반도체 경기가 살아나려면 미국, 중국 등을 비롯한 세계 경기가 좋아져야 한다.
그러나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
IMF는 특히 미국도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등으로 경기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처럼 세계경제가 침체를 겪을 공산이 커지면서, 수출에 크게 의존하는 한국 경제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올해 하반기에는 성장률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힘을 잃고 있다. IMF나 아시아개발은행
게다가 미중 갈등 격화도 한국 기업들을 난처한 처지로 몰고 있다.
한국 대기업 총수들은 조만간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 맞춰 미국을 방문해, 미국 정부로부터 반도체
그런데 최근 중국 정부는 삼성전자
또, 시진핑은 광저우에 있는 LG디스플레이 공장을 깜짝 방문해, 한중 간 경제 교류를 중시한다는 점을 보였다.
미국과 중국 정부가 여러 혜택을 주며 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하는 것은 단기적으로는 수익성 악화로 고통받는 한국 기업들의 숨통을 틔워 줄 수도 있다. 그러나 미중 갈등이 더 심해질수록 경제 분야에서도 어느 한쪽을 확실하게 편들어야 한다는 압력은 더욱 커질 것이다.
부동산 PF 위기
한편, 금리 인상에 따른 집값 하락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한국은행이 3월에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국내 상장 건설회사 중 36퍼센트가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갚기 어려운 한계기업이다.
중소 건설사뿐 아니라 규모가 꽤 큰 중견 건설회사의 부도도 점점 늘고 있다. 지난 2월에 시공능력 83위인 대우조선해양건설에 이어 지난달에는 에이치엔아이엔씨
이에 따라 금융 부실 위험도 커졌다.
금융감독원이 조사한
문제는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이 0.37퍼센트에서 1.19퍼센트로 늘었다는 것이다. 특히, 증권사 35곳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이 10퍼센트를 넘어 위기감이 고조됐다. 지난해에 새마을금고가 해 준 부동산 PF가 급증했고, 대출 연체액도 급증했다는 사실도 알려졌다.
이 때문에 최근 금융권에서는 흉흉한 소문이 돌기도 했다. 대형 저축은행 2곳이 부동산 PF 대출에서 1조 원대 손실을 봤으니 예금을 빨리 인출하라는 소문이
증권사, 저축은행 등 중소 금융기관들의 파산은 실물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금융 시스템 전반을 뒤흔드는 더 큰 위기와 패닉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윤석열 정부는 노동
고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