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윤석열 퇴진 운동 팔레스타인 투쟁과 중동 트럼프 2기 이주민·난민 우크라이나 전쟁

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주류 경제학이 설명하지 못하는 인플레이션 원인

인플레이션은 꽤나 갑작스럽게, 주요 자본주의 나라들에서 경제 정책 논쟁을 지배하는 쟁점이 됐다. 지난 몇 달 동안 물가가 급격하게 올랐기 때문이다. 영국에서는 물가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퍼센트나 올랐고, 미국에서는 8퍼센트 넘게 올랐다.

이것은 충격을 줬다. 2007~2009년 세계 금융 위기 이래 더 문제가 됐던 것은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이었기 때문이다. 당시에 간신히 0을 넘어선 물가상승률은 더딘 경제 성장과 관계있었다.

디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중앙은행들은 금리를 가능한 한 낮췄다. 그리고 양적완화 정책을 시행했다. 양적완화는 돈을 찍어 내어 그 돈으로 은행들에게서 채권을 사들여, 은행들이 투자자들에게 대출해 주도록 장려하는 정책이다.

강경 신자유주의자들은 그 정책을 비판했다. 정통 화폐수량설에 따르면 통화량 증가는 물가 상승을 낳는다. 그래서 양적완화 비판자들은 인플레이션을 예측했다. 그러나 그 예측은 빗나갔다. 부자들은 중앙은행이 제공한 저리(低利) 자금으로 주식과 부동산을 더 많이 구입했고, 안 그래도 넘쳐나는 재산을 더욱 늘렸다.

그러면 지금은 무엇이 달라졌는가? 생산 영역에서 중대한 변화들이 있었다. 주되게는 팬데믹이 초래한 것이다. 상품과 서비스 수요의 비중이 변했다. 예를 들어, 부유층 가구들은 외식을 하거나 술집에 가기보다는 음식과 음료·주류를 사서 집에서 소비했다.

상품의 수요가 증가하면서도 그 상품의 공급에 문제들이 발생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사례는 아마 컴퓨터 칩 품귀 현상일 것이다. 그러자 새 차도 품귀 현상을 빚고, 새 차를 대체할 중고차의 가격도 치솟았다. 노동자들은 일시 휴직 상태를 이용해 벌이가 더 좋고, 덜 고된 곳으로 직장을 옮기려 했다.

시장에 대한 아담 스미스의 신념을 받아들이지 않더라도 이런 차질들이 수요·공급의 변화에 따라 진정될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가지 장기적 추세가 상황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첫째, 각국이 석탄 같은 최악의 화석연료를 덜 쓰려 하면서 가스 수요가 증가했다. 특히, 중국과 한국 등 동아시아 나라들이 가스 수입을 늘리기 시작했다.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가 지배하는 석유 카르텔인 오펙플러스(OPEC+)와 미국의 셰일 오일·가스 기업들은 생산을 늘리지 않음으로써 많은 이익을 챙겼다. 그래서 에너지 가격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전인 지난겨울에 이미 치솟고 있었다.

한편, 이 전쟁은 두 번째 장기적 추세, 즉 증대하는 제국주의적 경쟁을 반영한다. 미국과 그 동맹국들이 러시아와 벌이는 대결은 에너지 가격을 더욱 끌어올렸다. 그러나 에너지 생산자들은 여전히 증산을 거부했다. 그 결과 유럽 전역에서 혹독한 생계비 위기가 닥쳐 왔다.

식량 가격도 급등했다. 이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밀 수출이 중단된 탓이기도 하다. 두 나라는 전 세계 밀 수출량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그러나 금융 투기도 중요한 요인이다. [유럽의 다국적 온라인 탐사 언론] 라이트하우스 리포츠는 우크라이나 전쟁 개전 이후 밀에 투자하는 상품 펀드들에 대규모 자금이 유입됐음을 포착했다. 곡물 생산은 지난 15년 동안 약간 증가했지만, 가격은 매우 거칠게 요동쳤는데, 이는 가격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 것인지를 두고 투기가 벌어졌기 때문이라고 라이트하우스 리포츠는 지적한다. 〈슈피겔〉은 이렇게 보도한다. “금융 데이터를 보면 투자자들이 전쟁과 관련된 식량 위기를 투기에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은 가격을 끌어올리고 빈국들의 곤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임금-물가 악순환”에 대한 두려움 사용자들은 물가 상승에 대응해 노동자들이 임금 인상을 요구할까 봐 두려워하고 있다 ⓒ출처 Sufra NW London

이처럼 정설 인플레이션 이론은 지금의 급격한 물가 상승에 관해 설명해 주는 바가 거의 없다. 그럼에도 각국 중앙은행들은 정설 이론으로 자신들의 물가 대응책을 정당화한다. 그 대응책은 바로 급격한 금리 인상이다. 이는 그들이 강박적으로 되뇌는 “임금-물가 악순환”에 대한 두려움을 반영한다. 물가가 오르면 노동자들이 생활수준을 지키려고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식으로 악순환이 벌어진다는 것이다.

그런 일은 1970년대에 실제로 어느 정도 벌어졌다. 당시 물가 상승률은 25퍼센트로 치솟았다. 이는 오늘날 전망되는 것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그럼에도 지금 왜 이리 두려워하는가? 마르크스가 밝혔듯이 임금과 이윤이 반비례 관계이기 때문이다. 임금이 오르면 이윤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이윤을 보전하려면 [노동자들의] 생활수준을 압박해야 한다. 그러다가 또다시 경기 후퇴가 오더라도 말이다.

인플레이션은 실로 계급 투쟁의 한 형태인 것이다.

주제
이메일 구독, 앱과 알림 설치
‘아침에 읽는 〈노동자 연대〉’
매일 아침 7시 30분에 보내 드립니다.
앱과 알림을 설치하면 기사를
빠짐없이 받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