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혁명 1백 주년 연재 17:
스탈린: 반(反) 혁명의 화신
〈노동자 연대〉 구독
백 년 전인 1917년 러시아 혁명은 근본적으로 새로운 사회를 낳았다. 본지는 올 한 해 러시아 혁명을 주제로 한 기사를 꾸준히 번역 연재한다.
1912년, 이오시프 스탈린은 볼셰비키 동지였던 레프 카메네프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렇게 썼다.
그러나 그로부터 24년 후, 스탈린은 재판을 조작해 카메네프를

1912년의 스탈린은 대담한 혁명가이자 붙임성 있는 동지로 정평이 나 있었다. 1930년대의 스탈린은 수백만 명을 학살하고 세계 곳곳에서 혁명의 불씨를 짓밟는 데 일조한 독재자였다.
스탈린의 범죄 행위들은 사회주의 혁명이라는 이상을 폄훼하는 근거로 제시되곤 한다. 그러나 스탈린주의는 혁명이 패배해서 생겨난 것이었다.
이오시프 주가쉬빌리

스탈린은 불법 혁명 조직에서 활동하면서 투옥되고 국내 유형지로 추방되기를 거듭했다.
그는 혁명을 위해 은행을 털기도 했다. 1907년 6월 티플리스
1917년 러시아 혁명 발발 당시 스탈린은 믿음직한 볼셰비키 상근자였다.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집행위원회의 일원이자 볼셰비키 중앙위원이었던 스탈린은, 당 내에서 가장 유력한 입장이라면 무엇이든 따르곤 했다.
혁명가들이 아닌 사람들 사이에서 스탈린은 널리 알려진 인물은 아니었다.
러시아 혁명의 지도자 블라디미르 레닌은, 병으로 죽어가던 1922년에 다른 볼셰비키 지도자들에게 이렇게 경고했다.
고집
레닌이 죽고 나자 스탈린은 레닌의 후광을 업으려 했다. 그래서 레닌의 시신을 미라로 만들 것을 고집했고, 레닌 신격화에 앞장섰다.
당시 러시아 혁명은 고립됐다. 혁명을 일으켰던 노동계급은 전쟁과 기근 때문에 거의 완전히 사라졌다.
레온 트로츠키는 여러 볼셰비키 분파들이 혁명에 가해지는 각기 다른 압력을 대변했다고 설명했다. 일부는 노동자들의 이익을 옹호했고, 또 일부는 사적 자본주의로의 회귀를 주장했다.
스탈린은 성장하던 관료 집단을 대변했다.
트로츠키의 분석은 탁월했지만, 관료 집단이 새로운 지배계급을 형성할 만큼 강력하지는 않다고 트로츠키가 봤던 것은 틀렸다.
혁명은 확산되지 못했고 그 결과 쇠락했다. 그러면서, 반혁명이 득세했고 스탈린은 그 화신이었다.
스탈린은
1931년에 스탈린은 이렇게 말했다.
영국 같은 나라들에서 산업화는 백 년이 넘는 시간에 걸쳐 이루어졌고, 그 와중에 수백만 노동자의 삶을 파탄 냈다. 잔혹하게도, 스탈린은 이 과정을 러시아에서 단 20년 만에 밀어붙였다.
혁명의 성과들이 하나씩, 하나씩 제거됐다.
스탈린은 1917년에 민중이 쟁취한 이상을 파괴했고, 1917년의 투사 다수를 물리적으로 숙청했다. 그들이 혁명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러시아는 어떤 점에서도 사회주의 사회라 볼 수 없었다. 독재자가 지배하는 국가자본주의 사회가 됐다.